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08.29]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 - 요약/ 서울,수도권 전주대비 상승/ 세종 매매1.72%,전세 0.34%/경기도 매매,전세 상승/5대광역시 전세 상승/공급부족 심화
    카테고리 없음 2020. 8. 29. 14:06
    728x90

    2020년 08월 2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 동향 조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전세공급 부족 심화 입니다.

    전국 기준으로 전세수급지수는 180을 넘는 상황으로 전세물량이 절대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서울은 2015년 전세대란 때의 전세수급지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08월 2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보도자료 - KB부동산

    8월 1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https://onland.kbstar.com/quics?page=C059745&cc=b061785:b061785&listPage=%2Fquics%3Fpage%3DC059745&boardId=733&compId=b061785&tableName=Q_BOARD_ARTICLE_0020&articleId=46048&bbsMode=view&isGuest=T&viewPage=1&searchCondition=title&viewRows=0&bbsAclCtlBit=null&write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8&modify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5&delete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2&reply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7&recommand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6&recommandMailActionTarget=%2Fcommon%2Fjsp%2Fcbp%2Fbbs%2FrecommandMailSendProc.jsp&selectAnswer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04&imgdelete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4&commActionTarget=https%3A%2F%2Fonland.kbstar.com%2Fquics%3Fasfilecode%3D534210&commPage=1&PAGE_SNS_BTN=Y&PAGE_PRINT_BTN=Y&QSL=F

    KB부동산_보도자료_20200824.docx
    1.26MB

    조사기준일: 2020년 8월 14일

    ■ 서울 전세가격 상승세 유지되며 공급부족 심화, 매매 매수세는 하락 중

    -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지난주 0.38%상승과 유사한 0.40%로 상승 유지, 공급부족 심화

    - 서울 매수우위지수 109.7로 지난주 114.3보다 하락하며 더디게 안정화 진행 중

    *지수기준시점 : 2019년 01월 14일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율 0.43%기록, 지난주 0.44%에 이어 상폭 소폭 축소

    -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율 0.40% 기록, 지난주 0.38%상승에 이어 상승폭 확대, 공급부족 심화

    - 서울 매수우위지수가 109.7로 지난주 114.3보다 하락하면서 더디게 안정화 진행 중

    -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율 0.29%기록, 지난주 0.26%에 이어 상승폭 확대

    -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율 0.26%기록, 지난주 0.26%에 이어 상승폭 동일 (3주 연속 동일)

    -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율 1.72%기록, 지난주 1.64%에 이어 상승폭 확대

    - 세종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율 0.34%기록, 지난주 1.91%에 이어 상승폭 대폭 축소


    2020년 08월 24일 기준 KB부동산 매매시장 동향

    지난주 서울의 매매와 전세 가격은 상승폭이 소폭 완화됐을 뿐 하락은 진행형이라고 KB부동산에서는 밝혔습니다.

    그리고 이번주에 서울의 매매 매수세는 하락하는 중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지난주에 비해 그렇게 떨어졌다고 말하기 어렵지 않나 싶은데요.

    실제로 서울의 매매증감을 보면 지난주 대비 0.01%하락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KB 부동산에서의 전망과는 달리 여전히 서울의 매매가격 상승세는 여전하며, 수도권 전역으로 보더라도 상승세는 0.32%포인트로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서울 전세 가격은 여전히 상승을 유지하면서 전세수급지수가 190을 넘으면서 공급부족이 매우 심화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는게 아닐까 싶네요.

    최근 2020년 08월 03일 부터 전세 증감이 빠르게 상승하고 하면서 서울은 0.38~0.41% 사이의 전세증감을 나타내고 경기도도 0.26 ~ 0.28% 포인트 를 기록하면서 전세가격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뒤늦게 인천이 전세가격 상승율이 치솟았습니다.

    경기도와 같은 0.26%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천의 경우에 연수구, 부평구, 계양구의 전세가격이 지난주 대비 상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연수구를 제외하면 부평구 ,계양구는 경기도에 인접한 지역이기 때문에 경기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즉, 경기도에서 다시 인천으로 이동하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을 하게 되네요.

    그에 비해 인천 서구(0.90%)의 전세증감이 그동안 눌렀던 수요가 폭발한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높은 전세 증가세를 보였네요.

    결국 서울, 수도권 전세물량 부족이 심각합니다.

    전세가격의 최근 상승흐름은 임대차3법의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등으로 인해 전세 매물이 더욱 줄어들게 만들면서 전세가격이 계속해서 올라가면서 지난주에 다소 누그러지는 듯 싶다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는 서울, 수도권의 매매, 전세가 안정화되고 있다고 보여지진 않습니다.

    한편, 행정수도 이전 이슈로 인해 뜨거웠던 세종이 2주저에 3.06% 의 기록적인 상승률이후 지난주 1.64%이어 이번주 1.72%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여전시 전국 1위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이후 1% 이상 매매 증감만 보더라도 7주나 기록하였습니다.

    세종시의 기록적인 상승세에 인근 지역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히 계룡시의 경우에는 0.54%를 기록하면서 높은 매매 상승율을 기록하였습니다.

    대전시나 청주시를 보더라도 매매 상승율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무래도 대전시의 매수수요가 세종시에 뺏기고 있어서 그런게 아닌가 생각이 들고, 청주시의 경우에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수요층들이 이탈하면서 역시나 세종시로 관심을 돌린게 아닌가 싶네요.

    다만 세종시의 전세 증감을 보면 지난주 1.91%를 기록한 이후 0.34%를 기록하면서 상승율이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또한 높은 수치를 보인 것입니다.

    너무나 높은 전세증감 수치를 보여서 그렇지 경기도의 0.30%포인트 보다 높은 수치임을 감안하자면 전세가격 상승율이 결코 낮지 않습니다.


    강북구가 매매, 전세 모두 1%대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매물 부족현상으로 중저가 매물에 대해 높은 호가로 나오면 이 즉시 매매든, 전세든 거래가 이루어지다 보니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재개발 시범단지 들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더욱 상승세가 큰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울러 동북선 경전철 사업 영향으로 동북선 라인쪽 단지들의 매매가격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성동구는 지난 6.17대책이후 큰폭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7.10대책 발표 이후 급락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다시 매수세가 살아나면서 0.63%포인트를 기록하면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강남진입이 편리하고 왕십리쪽의 역세권 위주의 직주근접이 가능한 지역들에 대한 매수, 전세가 꾸준한다고 하다고 합니다.

    아울러 인근 일자리 수요와 더불어 성수전략정비구역 등의 개발 호재들도 매매, 전세 가격의 상승요인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구리시는 태릉 골프장 개발 계획 및 육사 이전 계획으로 행정구역상 일부 지역이 구리시 관할지역으로 분류되며 구리시에서는 이러한 개발 계획이 GTX-B노선의 갈매역 정차에 대한 꾸준한 기대심리로 지난 7월 27일 부터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서울 중랑구 신내차량기지와 구리시 도매시장사거리를 연결하는 '도시철도 6호선 연장(구리선) 건설사업' 심의 호재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접한 갈매 역세권을 중심으로 수요 증가 및 매매가 상승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지난주 잠시 주춤하는 듯하다가 다기 0.94%의 높은 매매가 상승율을 기록하였습니다.

    확실히 경기도 고양시가 6월부터 전반적으로 매매 상승율이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7월달에 상승율 정점을 찍은 이후 약간의 조정을 받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8월 24일 기준 고양시 전 지역이 0.48~0.58% 포인트 사이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고, 여기에 전세가격 상승율도 만만치 않게 상승하면서 일산동구의 경우 0.47%, 덕양구도 0.35%의 전세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화정동, 행신동 역세권의 서울진입이 용이한 지역들의 매매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지고, 2023년 개통 예정인 GTX-A노선을 따르는 지역들에 대해 투자자의 관심이 쏠리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인천은 지난주 부평구이 상승한 이후에 연수구가 높은 상승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송도동, 연수동 일대 신축 단지들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저평가 지역으로 꼽히는 옥련동 일대 단지들도 수인선 8월 개통, 옥골재개발(송도역세권도시개발) 연내 착공 목표로 삼성래미안에서 분양한다는 소식에 투자자가 증가하면서 관심이 높다고 합니다.

    인천평균 매매 상승율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고, 전세가 상승율도 같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7.10대책 이후 다른 지역들에 비해 비교적 덜 규제를 받아 보니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2020년 08월 24일 기준 KB부동산 전세시장 동향

    서울은 지난주 0.38%에서 소폭 상승한 0.41%의 상승율을 기록하였습니다.

    전세물량이 부족하다 보니 전세가격은 자연스레 상승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지난주이 에어 0.26%의 평균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고, 5대 광역시의 전세가격도 지난주 대비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광주광역시의 전세가 상승율은 0.02%로 여전히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부산, 울산, 대구 등지의 전세가격 상승율이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제 9월을 접어들어 이들 지역의 전세가격 상승율도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날짜

    지역별 전세 상승율

    2020.08.24

    대전(0.36%), 대구(0.17%), 울산(0.13%), 부산(0.08%), 광주(0.02%)

    2020.08.17

    대전(0.23%), 대구(0.15%), 울산(0.13%), 부산(0.06%), 광주(0.01%)

    2020.08.10

    대전(0.23%), 대구(0.14%), 울산(0.11%), 부산(0.06%), 광주(0.04%)

    2020.08.03

    대구(0.10%), 대전(0.08%), 울산(0.08%), 부산(0.07%), 광주(0.02%)

    2020.07.27

    대전(0.23%), 울산(0.10%), 대구(0.09%), 부산(0.08%), 광주(0.01%)

    2020.07.20

    대전(0.07%), 대구(0.06%), 울산(0.06%), 부산(0.05%), 광주(0.00%)

    서울은 매매가격이 급등하면서 비싸진 매물로 인해 매수자들이 전세로 전환하여 전세수요로 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전세를 살고 계시던 분들은 전세 재연장을 하고 있고, 신규 입주물량이 없고, 소유자들이 직접 실거주를 하는 (재건축 조합원 2년 의무 거주 요건 강화) 상황에 기존 전세 매물 자체도 사라지고 있습니다.

    전세 품귀현상이 더욱 두드러 지고 있습니다.

    6.17대책과 7.10대책으로 인한 세금 부담으로 인해 전세를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하고 있고, 임대차3법시행을 앞두고 미리 전세가격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전세가격 상승율이 그동안 적었던 지역들 위주로 전세가격 상승율이 높아졌습니다.

    구로구, 강북구, 광진구, 성동구, 성북구 등의 전세가격 상승율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전세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송파구는 여전히 0.76%포인트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매물은 없는 반면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다 보니 상승세가 여전합니다.

    구로구의 경우에는 대체로 매수세가 꺾이면서 전세를 찾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출회된 전세 물건이 적어다 보니 거래할려고 해도 원만히 진행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전세가 상한제 시행 전에 보증금 인상을 서두르는 움직임들이 보이고 있는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라 생각됩니다.

    광진구의 경우 역세권과 학군이 고루 분포된 지역적 특징과 부동산 규제로 인한 매물 품귀현상으로 전세가 상승세 분위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강북구의 경우에는 전세가격 상승율이 1.46%포인트를 기록할 정도로 전세매물이 급감하면서 호가로 전세거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경기도 역시 서울과 마찬가지로 전세물량이 없습니다.

    수요대비 물량이 없어 전세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고, 임대차 3법 추진 영향으로 가격을 미리 올리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전세가격 상승율은 매매가격 상승율 못지 않게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세물건이 워낙에 귀하기 때문에 기존 가래가보다 급등한 가격이라도 바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가을 이사철 전세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임대차 3법 시행으로 매물감소가 뚜럿하고 수급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나 6.17대책으로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경우 대출 한도 부족으로 집을 매입하지 못하는 수요가 전세로 선회하면서 전세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안산시의 경우 상록구는 매매, 전세가 모두 상승을 보이고 있는 반면 단원구의 경우 전세가격 상승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용인시는 수지구가 매매 상승율이 0.24%를 기록한 가운데 전세 상승율이 0.6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시의 수지구나 기흥구는 여전히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전세가격 상승도 동반하여 오르고 있는 것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경기,인천, 5대 광역시의 전세수급 증감을 보더라도 인천이 약간 꺽이긴 하였지만 대체로 전세 수급지수로 180을 넘는 상황입니다.

    그만큼 전국적으로 전세물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수치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요지역 주간 변동률 순위

    2020년 08월 24일 기준

    2020년 08월 17일 기준

    2020년 08월 10일 기준

    2020년 08월 03일 기준

    2020년 07 월 27일 기준

     

    댓글

치로의 경제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