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년03월1주 아파트 매매가격동향-한국감정원/ 서울 재건축, 고가단지 하락세/ 노원,중랑,강북,구로 등 중저가 단지 상승세/ 군포,화성,의왕,안산 풍선효과/코로나19 대구 하락
    부동산공부 2020. 3. 8. 13:03
    728x90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0년 03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 한국감정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0년 03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http://www.kab.co.kr/kab/home/main/main.jsp

    !200306(조간)_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00302기준).pdf
    1.22MB

    2020년 02월 1주차 차트

    2020년 03월 1주차 차트


    2019년 12월 16일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매수세가 잠시 주춤하면서 매매 상승율이 내려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가격지수 변동율은 보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국 주탁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폭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도권은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지만 서울과 지방은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네요.

    한국감정원이 2020년 03월 1주차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6% 상승하였습니다.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에서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08→100개)은 감소, 보합 지역(24→30개) 및 하락 지역(44→46개)은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수도권

    (0.30%→0.27%)

    상승폭 축소

    서울

    (0.01%→0.01%)

    상승폭 유지

    5대광역시

    (0.14%→0.07%)

    지방(0.10%→0.06%) 상승폭 축소

    8개도

    (0.02%→0.01%)

    세종

    (1.52%→1.02%)

    시도별로는 세종(1.02%), 인천(0.42%), 대전(0.41%), 경기(0.39%), 울산(0.16%), 충북(0.08%) 등은 상승, 전남(0.00%), 부산(0.00%)은 보합, 제주(-0.04%), 경북(-0.03%)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그런데 상승폭이 축소되었다고 하지만 상승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풍선효과로 상승하는 지역이 계속 넓어지는 느낌이네요.

    하지만 지난 2월 1주차와 비교하자면 실제로 상승율은 서울을 제외하면 큰 폭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에는 거의 0.1% 이상의 상승율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02월 1주차 차트

     

    2020년 03월 1주차 차트

     


     

     

    서울

    지난 2020년 02월 20일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 기조 강화’ 발표 (2.20)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2020년 03월 현재 코로나19 확산 영향 등으로 매수 심리 위축된 가운데, 재건축과 고가단지는 하락세 지속되나, 중저가 단지는 상승하며 2020년 02월 4주차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9년 12.16대책으로 서울의 9억 이상의 아파트에 대한 매수세가 약해진 상황에서 9억 미만의 아파트들의 키맞추기가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강남 3구내 재건축 단지들이 호가를 낮추면서 매물을 내놓은 상황에서 매수문의는 줄어들고 있다 보니 동남권의 매매지수는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9억미만의 아파트들이 모여 있는 지역들의 경우에는 여전히 상승세는 이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강북 지역은

    지난 2월에는 노원구, 중랑구 등의 매매가격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마용성이라고 하는 마포구,용산구, 성동구의 상승세가 줄어들었는데 이번에는 0.02% 의 상승율을 기록하면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등의 상승세가 눈에 띄고 있으며 중랑구도 0.04% 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로구의 경우에도 0.8%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들지역들은 그간 상승세에서 소외되었던 지역들로 갭메우기 장세로 흘러가는 와중에 정부의 규제로 인해 9억 이상의 아파트 매매시 대출규제를 함에 따라 9억미만의 아파트가 존재하는 지역들이기도 합니다.

    지난 2월에 이어 3월에도 계속 이런 장세가 흘러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강남지역은

    2020년 03월 강남4구는 2019년 12.16대책의 영향을 계속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12.16대책에 따른 매수문의가 급감한 이후 하락으로 전환하면서 지난 2월에 이어 3월에도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재건축단지 위주의 급매물이 출현하였고, 거래량이 끊어지다 시피 하다 보니 그 영향이 기축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급매 위주의 거래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강동구의 9억이하 중소형 단지들은 소폭 상승하고 있어 부동산규제로 인한 풍선효과와 타지역간 갭메우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9억미만의 아파트들이 9억원이라는 가격 상한선을 향해 상승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서남권에서 구로구의 상승세가 눈에 띕니다.

    아무래도 그간 다른 지역들의 상승장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이기도 하거니와 9억미만의 아파트들이 존재하는 지역으로 풍선효과에 의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기도

     

    2020년 02월 말에 수원, 용인, 구리, 안양 등의 상승률은 가히 폭발적이었습니다.

    지난 2019년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강력한 대출규제로 서울의 부동산 수요를 억누르다 보니 경부과 서울인근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면서 급등수준의 가격상승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지난 11월말까지만 하더라도 과천정도에서 머물렀던 12.16 대책 이후 상승세가 다른 지역으로 퍼지면서 결국 2020년 02월 20일 19번째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그 상승세가 잠시 꺾이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수원의 경우 한주만에 1.56% 라는 급등 상승세에서 조정지역으로 묶이면서 0.78% 로 꺾이긴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이 상승율도 과히 낮은 수준은 아니며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상승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잘 먹히지 않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더욱이 이번 2020년 02.20대책으로 수원을 주타켓으로 잡았다고 하지만 그 효력이 그렇게 크지 않다는 것은 팔달구만 하더라도 여전히 1.06%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기에 쉽사리 잡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편, 이번 02.20대책이 나온 이후에 군포, 화성, 의왕, 안산 등이 다시 상승율을 올리고 있습니다.

    점점 다른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커지고 있습니다.


    인천

    인천은 2019년10월달 이후로 교통호재 등의 기대심리는 조금씩 사그라 들었던 상황이었습니다.

    교통호재인 수인선, 분당선과 GTX-B노선 예비타장성 조사 통과에 의한 기대심리와 더불어서 7호선 청라 연장, 2호선 연장 계획, 인천지하철2호선연장 개발 기대감에 대한 누그러지던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연수구에 위치한 송도의 분양열기로 인한 매매가격 상승을시작하더니 서울의 규제로 인한 비규제지역인 인천에 대한 풍선효과가 나타나면서 인천내 역세권 위주의 신축 아파트들의 상승세를 타고 있었습니다.

    결국 계양구,연수구 위주의 교통에 대한 개발호재와 더불어 3기신도시에 대한 기대심리, 신축 수요, 비규제지역에 대한 풍선효과등으로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2020년 03월 1주차에 0.42% 라는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남동구까지 철도망(수인~분당선, 제2경인선) 의 교통호재의 기대감으로 상승하는 것이 눈에 띄네요.

    인천 연수구의 서쪽에 위치한 인천 중구가 대규모 입주물량의 영향으로 매매가격이 떨어지고 있는데 연수구가 그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이 눈의 띄네요.


    5대 광역시

     

    대구가 코로나19로 인해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하락전환하였습니다.

    대전과 울산은 지난 2월 부터 계속해서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양새입니다.

    특히 대전의 경우에는 2020년 02.20부동산 대책에서도 비켜나면서 0.75%까지 상승하는 등 높은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전

    이번주에 대전에 대한 코멘트가 없는게 좀 의아스럽네요.

    아무래도 2.20대책에서 비켜난 지역으로 코멘트하기에는 좀 부담을 느낀게 아닌가 싶네요.

    0.41%의 상승율이 적은 것도 아닌데 ...

    다음주에는 어떤 코멘트를 할지 지켜보게 되네요.

    울산

    울산은 점점 상승세를 더하고 있습니다.

    2019년 누계 상승류이 -0.29%이었지만 2020년 01월 06일 기준으로 0.17% 상승, 2020년 02월 03일까지 0.1% 대 상승, 2020년 03월 02일 기준 0.16% 대의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남구, 북구, 중구 등지에서 고루 상승율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

    대구는 지난 1월부터 조용히 상승중이었습니다.

    2월 3일에 0.05% 상승한 반면 2월 7일 0.21% 상승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2020년 2월만 하더라도 대구 서구는 정비사업과 주거환경 개선의 기대감으로 인해 꾸준히 상승하면서 평리동, 중리동 위주로 상승하고 있었고, 대구 달서구는 시청 이전등의 개발호재로 상승하고 있고, 중구 또한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으로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흐름이 2020년에도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사태로 인해 25주만에 하락반전하였습니다.

    집밖 외출을 못하니 거래 자체가 힘들어지면서 매도자 입장에서는 매매가 이뤄지길 기다리는 상황으로 상황이 반전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분위기가 급랭하면서 하락반전하였습니다.

    제발 이번 코로나19가 빨리 끝나길 기원합니다.

     

    세종

    세종시는 2019년 11월 하락에서 전환한 이후에 2019년 12월말에 폭발적인 상승세(0.99%)를 기록, 2020년 01월 06일 기준 0.28% 상승세가 한풀 꺾이나 싶었지만 0.3~0.4% 대의 높은 상승세를 꾸준히 유지하였습니다.

    그리고 2월에 이어 3월에는 상승폭을 더욱 확대하는 모양새입니다.

    고운, 아름, 중촌동 등의 중저가 단지들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12월부터 상승된 지역에서 소외되었던 아름, 고운, 종촌동의 교통이 좋은 지역 위주의 상승세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상승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상승폭이 축소되었다고 하지만 1% 대의 상승율은 쉽게 나오는게 아닙니다.

    총선때까지 세종의 상승세가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부산

    부산은 2019년 11.11을 기점으로 상승전환을 하면서 해.수.동 으로 불리는 해운대구, 수영구, 동래구 등의 상승이 눈에 띄게 올랐습니다.

    하지만 급등 피로감으로 인해 상승폭이 상당히 줄어 들면서 상승세가 꺾이더니 2020년 03월에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상승율은 2주 연속 0%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부산에는 여전히 공급될 물량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반짝 호재로 인한 급등장은 사라지고 지금은 현타가 온게 아닌가 싶네요.

    하락 반전을 하지 않고 유지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부산의 공급물량이 줄어 들때까지는 조심하는게 좋지 않을가 생각합니다.

    광주

    광주시는 2019년 누계 상승율 0.19%를 기록하였고, 2020년 현재 누계 상승율은 0.18% 입니다.

    2020년 01월 06일에도 0.02%, 2020년 03월 02일 기준 0.02% 상승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상승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5대 광역시의 급등장이 이어지게 된다면 다시금 광주도 올해 하반기에는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8개도

    전남, 충북, 충남, 경남 지역들이 2019년 내내 하락을 보이는 지역들이었는데 2020년 1월들어서 보합내지는 상승으로 전환한 이후 꾸준한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방

    충북지역이 지난 2월 3일 이후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충남지역은 2.17일 기점으로 상승세가 꺾이더니 다시 하락반전하였습니다.

    강원은 하락폭이 유지되거나 확대되는 모양새를 보이다가 상승반전하면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북과 제주는 여전히 힘든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동안 하락하거나 유지하던 제주시는 상업시설(제주드림타워, ‘20년 4월 완공 예정) 입주 앞두고 있는 노형동 기축 위주로 ‘19년 6월 1주 이후 35주 만에 상승 전환하였지만 1주만에 다시 하락반전하면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네요.


    2020년 03월 1주차

    2020년 03월 1주차

    댓글

치로의 경제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