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
[21.04.05]서울아파트 상승폭 축소/ 재건축 추진 단지 국지적 강세, 압구정동, 개포동 상승, 목동 신시가지 기대감 유지/ 전국분양 1.5만 분양, 서울 청약 제로기사읽기 2021. 4. 5. 07:00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률, 일반 단지의 2배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404/106242055/1 서울아파트값 숨고르기 속 재건축 추진 단지는 국지적 강세(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404014151003?input=1195m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축소,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국지적 강세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 폭을 축소하는 가운데서도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국지적 강세는 이어가고 있스빈다. 2021년 04월 0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지난 2월 5일 0.17%에서 지난 2일 0.07%로 두 달 연속 오름폭이 둔화되었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서울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아파..
-
[21.03.30]2차 공공재개발 16곳 추가발표/서울아파트 평균 11억 눈앞, 전셋 6억 돌파/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4만8000여가구, 최근 9년 동안 가장 적어, 전세 불안기사읽기 2021. 3. 30. 07:15
정부, 2차 공공재개발 강행…한남1구역 빠져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03/298355/?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 상계3 등 서울 공공재개발 16곳 추가…'주민반대' 한남1 등 4곳 무산(종합) https://www.news1.kr/articles/?4257144 "영등포역 역세권 1500가구 대단지" 공공재개발 후보지 어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32922501223729 공공재개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사업성 부족, 주민 간 갈등으로 장기 정체된 재개발사업에 참여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공급을 촉진하는 사업 공공재개발을 추진하는 구..
-
[21.03.02]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9%, 경기도 낙찰가율 113.2% / 수도권 빌라 낙찰가율 93.1%/ 서울 낙찰율 80% 돌파/ 수도권 소형상가 낙찰률 39% 상승기사읽기 2021. 3. 2. 07:01
수도권 소형상가 낙찰률 39%로 올라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1/03/02/JGT67JSCGRERBN7ECOVUBR36T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경매시장서 서울 아파트 낙찰률 80% 돌파…역대 최고 [부동산36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226000960 경매시장서 빌라 인기 수직상승…응찰자수 급증[부동산36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226000937 2021년 02월, 서울 빌라의 낙찰가율이 93.1%로 4년7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
-
[21.01.08]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축소/ 성남 수정구, 고양시 아파트 매매가격 1%대 상승/경기도 매수우위지수 121.0, 인천도 상승부동산공부 2021. 1. 9. 11:37
2021년 01월 0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 동향 조사를 리뷰하면서 제 생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그럼 "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 보고서"를 리뷰하겠습니다. 보도자료 - KB부동산 2021년 01월 0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https://onland.kbstar.com/quics?page=C059745&cc=b061785:b061785 조사기준일: 2021년 01월 04일 ■ 서울비롯한 전국 상승폭 소폭 줄었으나 일부지역 상승 여전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축소(0.45%-> 0.39%) - 성남 수정구(1.35%)와 고양시 아파트 매매가격 1%대 상승(일산서구 1.11%, 일산동구 1.00%) *지수기준시점 : 2019년..
-
[21.01.06]전국 입주물량 전년동기대비 30% 감소/ 서울 아파트 공급 전년동기대비 34% 감소/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서울 역풍선효과/ 전세가격 상승 가능성 높아기사읽기 2021. 1. 6. 07:51
서울 아파트 공급 절벽 현실화… 1분기 입주 전년비 34% ‘뚝’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72805&code=11151500&cp=nv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34% 급감, 전세 매물은 3분의 1 수준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1/01/06/JVCHTIKHBJFJFCD5PQORHKCKJU/ 수급 불안에 입주 물량 '뚝'…서울 전세 불안 진행 중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105_0001294885&cID=10401&pID=10400 2021년 1분기 입주 예정 물량, 2020년 1분기보다 30%이상 급감 국토교통부는 2021년 1분기 전국 입..
-
[21.01.04]7월, 3기신도시 사전청약시작, 3만 가구 조기 공급/ 서울 아파트거래량 증가/ 탈서울화 지속/ 지방아파트 다시 상승,규제효과 약해/ 공시가 1억미만 투자자 몰려기사읽기 2021. 1. 4. 07:46
서울 아파트 거래량 '꿈틀' 6000건 넘어…2개월 연속 증가 https://www.news1.kr/articles/?4168436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이 2020년 11월 6000건을 넘어서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부의 거듭된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오르자 규제에 내성이 생기면서 강남권은 재건축 기대감에 대한 투자 수요가 일어나고 있고, 전세난에 지친 무주택자들이 매수전환에 나서면서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강북권의 거래가 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서울 지역 아파트 11월 거래량 6279건(1월1일 기준), 10월부터 다시 매수세 살아나기 시작, 거래량 반등, 집값 상승폭 확대 2021년 01월 0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최근 집계..
-
[20.12.31]전국 미분양 2만3620가구, 2003년 이후 최저/ 서울 아파트 인허가 반토막 4년만 최저/집주인 임차인 가려 받아,추가대출이 나오지않아 입주전세 가격 안빠져기사읽기 2020. 12. 31. 08:05
전국 미분양 2만3620호…2003년 5월 이후 최저치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12300933Y 미분양 아파트 2003년 이후 최저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123029751 미분양주택 전세대란에 줄었나… 17년 만에 최저치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123017448023179 전국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2020년 11월말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 주택이 2003년 5월 이해로 가장 낮은 수치인 2만3000여 가구로 집계되었다고 국토부에서 발표하였습니다. 국토부 보도자료 ‘20.11월말 미분양 전국 23..
-
[20.12.23]분양가 상한제 후 공급물량급감/ 2021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절반, 전세대란 지속, 매매가격 상승 전망/ 수도권 외지인 아파트 거래 계속 증가,매매가격 상승부동산공부 2020. 12. 23. 07:29
분양가 상한제 후 공급물량 급감… 서울 아파트 분양목표 결국 미달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122302101532031001 부동산114에 따르면 2020년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은 이달까지 총 4만1622가구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19년말 부동산114가 2020년 서울 공급물량을 조사했을 당시 예정됐던 4만5944가구의 약 90% 수준으로 대부분의 물량이 예정대로 공급됐지만 약 10% 가량은 공급이 늦어졌습니다. 2020년 08월, 본격 시행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이후 공급물량 대폭 줄어, 공급절벽 현실화 올해 서울 아파트 공급이 당초 예정됐던 물량을 다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월부터 본격 시행된 민간택지 분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