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25]서울9억이하오름세지속/목동9단지 안전진단 탈락/한강맨션 재건축 시동/금천구 대한전선 자리 900가구/ 한국자산신탁,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자 지정기사읽기 2020. 9. 25. 09:03728x90
9억 이하 중소형 오름세 지속…안 꺾이는 서울 아파트값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482441
7·10대책 11주째…떨어지지 않는 서울 아파트값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89744/
서울 아파트 7.10대책 이후에도 가격이 하락하지 않고 한국감정원 기준 0.1~0.2%씩 계속 상승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가격은 서울 65주째, 경기도 59주째 상승중입니다.
전국 아파트값 전주 0.08%→ 0.09% 오름폭 확대, 수도권(0.06%→0.07%), 지방(0.10%→0.11%) 모두 상승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 0.08%에서 0.09%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6%→0.07%)과 지방(0.10%→0.11%) 모두 상승폭이 전주보다 커졌다.
부산 울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지방광역시는 전주와 동일한 0.16% 상승세를 나타냈다.
7.10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11주째 상승중, 전세가격 65주째 상승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집값이 1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과 지방,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65주째 올랐다.
한국감정원은 이달 셋째주(2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0.01% 올랐다고 24일 발표했다.
5주 연속 오름폭이 같다. 보합(0%)에서 상승으로 전환한 지는 16주째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0.01% 상승, 9억 이하 중소형 오름세 지속
‘7·10 부동산 대책’ ‘8·4 공급 대책’ 등 부동산 규제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에도 불구하고 9억원 이하 매수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행진이 잇따르고 있다.
관악구 0.03% 상승 / 9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높은 노원·중랑·강서·구로구 등도 0.02% 올라, 성북,도봉구 0.01% 상승 전환
서울 지역에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관악구는 전주 0.02%에서 0.03%로 상승폭이 커졌다.
9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높은 노원·중랑·강서·구로구 등도 0.02% 올라 전주(0.01%)보다 오름폭이 가팔라졌다. 전주 보합세(0%)를 보였던 성북·도봉구는 0.01% 상승 전환했다.
강남지역 신축 단지 위주 강세 보여, 서초구, 송파구 단지별 혼조세
강남 지역에선 강남구(0.01%) 자곡동, 강동구(0.01%) 성내동 등 신축 단지 위주로 강세를 보였다. 서초구와 송파구는 단지별로 혼조세를 보이며 보합을 이어갔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7·10 및 8·4 공급대책,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물량 확대 등의 영향과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로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다만 9억원 이하와 중소형 면적 위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지역에는 부동산 대책에 대한 학습효과로 좀처럼 하락세로 전환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9년 12·16 대책 발표 이후 한 5주가 지나면서 2020년 1월달에 강남3구 아파트 가격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기도 하였습니다. 이 당시에 10년 보유 주택에 대한 양도세 중과를 한시적으로 해제해준 덕분에 매물이 나오면서 가격이 조정을 받은 것인데 이번 6.17대책, 7.10대책 이후에는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강남구는 최근 7주째 상승률이 0.01%에 고정됐고, 서초·송파구는 7주째 상승률이 0.00%로 보합세를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 정도로 계속 보합세 내지는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전부는 6.17대책으로 강남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영향으로 분석하면서 효력이 발생하기 전 5일동안의 4곳의 아파트가격이 최고가를 기록한 영향으로 인근 지역 도곡,개포,반포, 압구정동 등이 키맞추기를 하면서 상승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부가 이들 지역의 가격을 올린 꼴이 된거나 다름이 없어 보이네요.
한국감정원, 서울 아파트 전셋값 0.08%, 65주 연속 상승/ 수도권 전셋값 상승율 0.16% 59주 연속 상승, 경기지역 전셋값 0.21% 상승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8% 올라 65주 연속 상승했다. 전주(0.09%)보다 상승폭은 소폭 줄었다.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강동구(0.13%)와 송파구(0.12%), 성북구(0.11%) 등은 전주와 상승률이 같았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6%로, 59주 연속 올랐다. 경기지역 전셋값은 0.21% 올랐다.
KB부동산, 9월 셋째주 서울 전세가격 9년만에 최고 상승율 기록, 0.50%
민간 조사기관인 KB부동산 자료에선 이달 셋째주 서울 전셋값이 2011년 9월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50%로 전주(0.42%)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성동구(0.98%) 노원구(0.97%) 은평구(0.94%) 동작구(0.75%) 종로구(0.69%) 등이 많이 올랐다.
KB부동산, 경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도 0.33% 올라 전주(0.32%) 대비 상승세
경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도 0.33% 올라 전주(0.32%) 대비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2013년 10월 셋째주(0.34%) 이후 약 7년 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광명이 1.80%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김포(1.08%), 남양주(0.60%), 구리(0.56%) 등이 많이 올랐다.
한국감정원의 전세가격 시세는 KB부동산에 비해 상당히 보수적으로 잡아서 발표를 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65주째 상승중이며, 수도권의 전세가격도 59주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의 전세가격은 2011년 9월 이후 9년만에 최고 상승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도 이 기록 갱신은 계속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계속 얘기했듯이 임대차 2법이 시행되어서 계속 입대인과 임차인간의 다툼이 신문 지면상에 계속 기사화되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을 이용하여 기존 전세입자는 살고자 하는 상황에서 신규 전세입자들은 계속 그 수요가 줄지 않고 늘어나고 있는데 전세가격이 떨어질리 만무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세금부담을 느끼는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 보니 전세품귀현상으로 전세가격은 계속 상승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목동9단지 안전진단 최종 탈락…목동 재건축 기대감에 찬물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88643/
목동 9단지 안전진단 최종탈락...문턱 더 높아지는 재건축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ZBWZ83O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가 한국기술연구원이 수행한 2차 정밀안전진단에서 C등급을 받으면서 재건축 정밀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했습니다. 어느정도 안전진단 통과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는데 재건축 규제 강화로 재건축이 더 어렵게 되는 듯 합니다.
재건축 안전진단
점수(100점 만점)에 따라 A~E등급으로 결과가 나뉜다.
55점 초과면 유지보수, 30~55점 이하는 조건부 재건축, 30점 이하는 재건축으로 분류한다.
이 중 D등급(31~55점)을 받으면 공공기관의 2차 안전진단 적정성 검토를 거친 뒤 재건축이 확정된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가 재건축 정밀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가 재건축 정밀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했다.
2020년 09월 24일 서울 양천구에 따르면 ‘목동 신시가지 9단지’는 2차 재건축 정밀안전진단 결과 C등급을 통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단지는 앞서 민간업체가 실시한 1차 정밀진단에서 D등급을 받았다.
이에 재건축 기대감이 고조됐지만 이번 한국기술연구원이 수행한 2차 정밀안전진단에서 C등급을 맞아 탈락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9단지의 통과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목동에서 속도가 가장 빠른 목동 6단지가 조건부 D등급으로도 무난하게 적정성 검토를 통과해서다. 하지만 정밀안전진단에서 탈락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최근 들어 재건축 규제를 더욱 강화한 것이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현재 목동 신시가지 6단지는 1차와 2차 정밀안전진단 문턱 넘어
현재 목동 신시가지에서는 6단지가 1차와 2차 정밀안전진단 문턱을 넘었다. 5·11·13단지의 경우 1차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맞아 2차 안전진단을 진행하고 있다.
14개 단지 2만7,000여가구가 재건축 사업을 통해 5만3,000여가구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이다.
목동 9단지 탈락으로 나머지 단지들 재건축 사업 추진에 차질 불가피
목동의 경우 14개 단지 모두 정밀안전진단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사업 속도가 두 번째로 빠른 9단지가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나머지 단지들 역시 재건축 사업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다.
2020년말부터 안전진단 주체가 지자체에서 시.도로 변경, 더욱 힘들어질 듯
한편 정부는 재건축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공공 재건축은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주지만 일반 재건축은 더욱 옥죄고 있다.
6·17 대책으로 이르면 올해 말부터 안전진단 관리주체가 지자체에서 시도로 변경된다. 이렇게 되면 안전진단 통과가 더 힘들어지게 된다.
목동 9단지가 안전진단 2차에서 C등급을 받으면서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당분간은 유지보수로 진행하면서 다시 안전진단 심사을 재추진하는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기사에서 언급했듯이 9단지가 안전진단에서 탈락하면서 다른 단지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9단지가 안전진단 점수가 목동 6단지에 비해 높았던 것을 보자면 목동 6단지 정도의 점수가 되어야 통과가 되지 않을까도 조심히 생각해 봅니다.
아울러 9단지의 경우에는 준공연도가 1987년 7월인데 비해 다른 단지들은 1986년에 지어진 아파트 단지들이기 때문에 다른 단지들이 9단지의 영향을 받긴 하겠지만 안전진단 정밀검사에서 또 다른 결과들이 나오지 않을까도 생각합니다.
한강맨션 재건축 속도…동부이촌동 개발 '탄력'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482421
한강맨션 단지 내 ‘놀이터 공유지분’ 문제로 멈췄던 서울 이촌동 한강맨션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재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파트를 보유한 현 소유주와 놀이터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최초 분양자의 소송에서 현 소유주가 처음으로 승소했기 때문입니다.
한강맨션
이촌동 한강변 노른자위에 자리잡은 국내 최초의 중산층 아파트다.
1971년 입주를 시작해 올해로 50년이 됐다.
단지 남쪽으로는 한강을, 북쪽으로는 용산공원을 끼고 있어 알짜 입지라는 평가를 받는다.
재건축 진행이 더딘 상황에서도 전용 103㎡ 거래가격이 26억원을 넘어섰다.
아파트 소유권과 관련한 법률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집합건물법)은 한강맨션이 공급된 1969년 이후인 1984년 제정에 지정되면서 그전에 지어진 한강맨션의 공유지분에 대한 소유권 문제로 소송전이 벌어지면서 재건축 사업이 지연되고 있었다.
이환성 한강맨션 재건축조합 고문단장, 최초 수분양자 A씨 상대로 소유권 이전등기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 받아
2020년 09월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이환성 한강맨션 재건축조합 고문단장이 A씨를 상대로 낸 한강맨션 놀이터 지분 등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
A씨는 이 단장이 소유한 아파트의 최초 수분양자다. 아파트를 매매하는 과정에서 아파트 지분은 넘어왔지만 놀이터 공유지분은 여전히 A씨 명의로 등기돼 있었다.
법원은 “소유권이 이전된 이후 원고가 공유지분을 평온하게 점유해왔다”며 “20년의 취득시효가 완성됐다고 볼 수 있다”고 판시했다.
아파트 소유권과 관련한 법률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집합건물법)은 한강맨션이 공급된 1969년 이후인 1984년 제정, 최초 수분양자가 공유지분을 계속 보유하게 되어 있어
한강맨션 단지 내 놀이터 부지 여섯 곳(총 4277.4㎡)은 재건축 사업의 최대 암초로 꼽혀왔다.
현재 한강맨션을 보유한 집 주인들(조합원)에게는 법적으로 놀이터 부지에 대한 소유권이 없기 때문이다. 아파트 소유권과 관련한 법률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집합건물법)은 한강맨션이 공급된 1969년 이후인 1984년 제정됐다. 수차례 주인이 바뀌는 동안 아파트 지분만 거래되고 놀이터 부지는 빠져 있었다.
총 660여 명의 조합원 가운데 130여 명이 소송을 제기, 과거 법제도 미비로 발생한 문제 해결을 찾아야
이번 승소로 나머지 조합원의 소유권 이전도 속도를 낼 것으로 조합은 예상했다. 총 660여 명의 조합원 가운데 130여 명이 소송을 제기했다. 이환성 단장은 “과거 법제도가 미비해 발생한 문제로 수백 명의 조합원이 선의의 피해자가 됐다”며 “권익위원회 중재를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것”이라고 말했다.
조합은 새 조합 집행부가 결성되는 즉시 단체소송에 나설 계획이다.
공시송달을 통해 사망·증여·상속·이민 등의 이유로 최초 수분양자를 찾지 못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2015년 첼리투스 이후 신규 단지 없는 동부이촌동 일대, 한강맨션 재건축 속도…동부이촌동 개발 '탄력'
전통 부촌으로 꼽히는 동부이촌동 일대는 2015년 첼리투스를 끝으로 신규 입주 단지가 없었다.
그러나 그동안 진행이 더뎠던 한강맨션 재건축이 새 전기를 맞았다.
인근 한강삼익과 왕궁 아파트도 사업시행인가가 기대되면서 동부이촌동의 개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강삼익, 2020년 06월 사업시행인가 받아, 2022년 분양 목표
지난 6월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인근 한강삼익은 2022년께 일반분양에 나선다는 목표다. 1 대 1 재건축을 추진 중인 왕궁도 조만간 사업시행인가를 예정하고 있다. 모두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알짜단지다.
2020년 08월, 이촌코오롱(834가구)과 강촌(1001가구), 공동 리모델링 추진 양해각서
1990년대 지어진 중층 아파트 단지들도 리모델링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이촌코오롱(834가구)과 강촌(1001가구)은 지난달 공동 리모델링 추진 양해각서를 맺었다.
건영한가람(2036가구)도 최근 추진위원회 설립
동부이촌동 리모델링 단지 대장주로 꼽히는 건영한가람(2036가구)도 최근 추진위원회 설립을 완료했다.
지은지 50년이 넘은 아파트에는 과거 법제정이 미비하여 생기는 소유권 분쟁이 재건축 사업 추진에 있어서 발목을 잡는 경우가 되었네요.
20년을 기다려서 지상권의 형태로 소유권을 넘겨 받게 되는 것이 좀 씁쓸하긴 하지만 그나마 사업추진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네요.
동부이촌동의 한강 조망 단지들은 정말 좋아 보이네요.
서울 금천구 대한전선부지에 아파트·병원 들어선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86264/
금천구 옛 대한전선 자리에 990가구 아파트…800병상 종합병원도 들어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89740/
서울시는 2020년 09월 23일 제1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금천구심 지구단위계획과 대한전선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하면서 서울 지하철 1호선 금천구청역 인근 옛 대한전선 용지에 990가구 아파트 단지와 800병상 규모 종합병원이 들어설 전망입니다.
서울시는 2020년 09월 23일 제1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금천구심 지구단위계획과 대한전선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
서울시는 지난 23일 제1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금천구심 지구단위계획과 대한전선부지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대한전선 용지는 공장 이전 후 나대지로 방치된 곳이다. 주민 제안에 따라 세부개발계획을 결정했다.
공장 이전 후 나대지로 방치됐던 서울 금천구심 내 대한전선 부지에 아파트와 의료시설이 들어선다.
금천구청역과 가까운 주거용지, 지하 2층~지상 35층 규모, 약 990가구의 역세권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한 아파트
이번 결정으로 금천구청역과 가까운 주거용지 자리에 지하 2층~지상 35층 규모 역세권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한 아파트 약 990가구가 들어선다.
금하로 맞은편에 있는 산업용지, 지하 5층~지상 18층 규모, 800병상가량 수용할 수 있는 종합병원
금하로 맞은편에 있는 산업용지에는 800병상가량 수용할 수 있는 종합병원을 지하 5층~지상 18층 규모로 짓는다.
또한 ▲금천구청역 이용자(일 약 2만3000명)의 휴게공간 제공 ▲금천구청과 금천구청역사의 복합개발에 따른 유동인구 증가에 대응하는 광장조성(3606㎡) 계획 ▲금천구청역 앞 광장 주변에 연도형 상가 배치와 지역활성화를 위한 특화가로 ▲커뮤니티가로 유도 구간에 공개공지 조성(4개소) 등의 내용도 반영했다.
공공청사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와 어린이 평생건강 확보를 위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운영(2107㎡)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한전선부지 특별계획구역의 세부개발계획 결정으로 서남권과 금천구 의료서비스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공공성 증진, 역세권 활성화, 배후주거단지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금천구청역쪽의 정부주도 사업은 정말 빨리 추진되는 듯합니다.
금천구청을 재건축하면서 주변 여건도 같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금천구 친환경주말농장으로 쓰고 있던 폐저유조 부지 약 4천㎡에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해서 900가구가 들어오게 되었네요.
[2018 11 27] 서울 금천구청역 재건축하면서 공공임대 짓는 복합개발 추진
한국자산신탁,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자 지정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46864i
한국자산신탁이 서울 영등포구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통합 재건축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되면서 한국자산신탁은 이번 사업 수주를 포함해 올해만 세 차례 신탁방식 정비사업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되었습니다.
신길우성2차, 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
신길동 4518 일대(4만5767㎡)에 지하 2층~지상 32층 10개동 1305가구의 아파트 단지를 신축하는 것
앞으로 시공사 선정, 관리처분인가 등을 거쳐 2026년 준공 예정이다.
사업지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이 도보 2분 거리로 가깝다.
아파트 단지 양 옆으로 대길초와 영신고가 있다.
대방중도 도보 2분 거리다. 아파트 단지 주변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병원, 마트, 은행 등 생활인프라가 형성되어 있고 보라매공원과 여의도 접근성도 좋아 신흥 주거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한국자산신탁,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자 지정
영등포구청은 24일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사업의 사업시행자로 한국자산신탁을 지정 고시했다.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은 신길동 우성2차아파트(725가구)와 우창아파트(214가구)가 통합 재건축 방식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신탁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면서 조합이 설립된 것과 동일한 상황
2020년 07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약 3개월 만에 신탁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면서 조합이 설립된 것과 동일한 상황이 됐다.
한국자산신탁, 2020년에만 3번째 신탁방식 정비사업 수주
한국자산신탁은 2020년에만 부산 사직1-5구역, 서울 방배삼호3차에 이어 세번째 신탁방식 정비사업을 수주했다. 최근에는 2017년 사업대행자로 지정됐던 작전태림연립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작전역 서해 그랑블)이 준공돼 입주를 앞두고 있다.
성해수 통합재건축 추진위원장은 “한국자산신탁의 적극적인 추진과 노력으로 안전진단을 조속히 통과할 수 있었다"며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동의서 징구 개시 22일 만에 시행자 지정을 위한 요건을 갖출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문성과 적극성으로 이끌어가는 사업인 만큼 모범적인 재건축 사례로 남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신탁 방식 재개발·재건축은 조합 대신 부동산 신탁사가 전반적인 사업 시행을 대행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정비 사업에서 잡음이 많은 추진위원회, 조합 설립 과정이 생략되고 신탁사와 대행 계약을 맺으면 사업시행 인가 전에도 바로 시공사 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업 기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정비 사업 전문가들이 조합을 대신해 적정 공사비 수준을 시공사와 조율하기 때문에 총 사업비와 조합원 분담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신길우성2차, 우창 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경우에도 조합설립단계를 건너뛰고 대행계약을 맺어서 사업 추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재건축 사업지역의 경우에 사업추진이 상당히 빠르네요
'기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