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25]남양주 별내자이더스타 당첨자 10% 부적격자/경기도,법인 급매물,개인 매수/ 서울 입주물량 5만→2만→1만가구/한은,주택전망지수 역대 최고/ 30대 매입 역대최고기사읽기 2020. 11. 25. 07:32728x90
청약열기 뜨겁던 별내자이, 부적격자 쏟아져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1/1209107/
GS건설에 따르면 남양주 별내 자이 더 스타 일반 공급 421가구 중 39가구(9.2%)가 부적격 당첨자라고 밝혔습니다. 청약 부적격 물량은 미리 선정한 예비 입주자 추첨으로 돌아가고, 부적격 당첨자는 1년간 청약 지원이 금지됩니다.
남양주 별내 자이 더 스타 - 421가구 중 39가구 부적격자 당첨자로 밝혀져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청약 경쟁률이 203대1을 넘기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남양주 `별내 자이 더 스타`에서 당첨자 10명 중 1명에 가까운 부적격자가 속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GS건설에 따르면 남양주 별내 자이 더 스타 일반 공급 421가구 중 39가구(9.2%)가 부적격 당첨자로 밝혀졌다. 전용면적별로는 84A 9가구, 84B 15가구, 84C 6가구, 99A 3가구, 99B 6가구다.
특별공급 319가구 중 32가구 부적격 당첨자, 부적격 당첨 비율 10% 넘어
특별공급에서는 319가구 중 32가구가 부적격 당첨자로 부적격 당첨 비율이 10%를 넘겼다.
생애 최초 특별공급에는 8718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113.2대1에 달하기도 했다.
전용면적별로는 84A 10가구, 84B 13가구, 84C 5가구, 99A 2가구, 99B 2가구다.
가장 많이 발생한 부적격 사례 `무주택기간 오류`로 전체 32.4%(23건) 차지
가장 많이 발생한 부적격 사례는 `무주택기간 오류`로 전체 32.4%(23건)를 차지했다.
특별공급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는 19건으로 26.8%, 부양가족 수 오류는 15건으로 21.1%로 집계됐다. 신혼부부가 동시에 청약했다가 적발돼 당첨이 취소된 경우도 1건 나왔다.
이는 일반인 청약가점제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기 때문
이처럼 10%에 가까운 부적격자가 나온 데는 일반인이 청약가점제도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예를 들어 무주택 기간은 가구원 전원이 무주택인 기간을 말하지만 부양가족에 포함하는 부모는 3년 이상 같이 살고 주민등록표에도 올라가 있어야 한다.
특별공급은 결혼 내내 무주택 조건을 지켜야 해 잠시라도 집을 산 경우면 부적격 처리된다.
과천지식정보타운에서도 부적격 당첨 비율 10%에 가까워
10억원 로또 청약으로 풀린 과천지식정보타운에서도 부적격 당첨 비율이 10%에 가까웠다.
이달 초 분양한 과천 푸르지오어울림라비엔오 당첨자 679명 중 10% 정도인 60여 명이 부적격자로 처리됐다.
특별공급(221가구)과 일반공급(458가구) 모두 부적격 비율이 비슷했다.
지난 7월 `과천 푸르지오 벨라르테`는 부적격 당첨자 비중이 15%에 달했다.
청약 부적격 물량 미리 선정된 예비 입주자 추첨으로 돌아가, 부적격 당첨자 1년간 청약 지원 금지
청약 부적격 물량은 미리 선정한 예비 입주자 추첨으로 돌아간다. 부적격 당첨자는 1년간 청약 지원이 금지된다.
요즈음 로또 청약으로 많은 분들이 청약에 도전하시고 계십니다.
그런데 자신의 청약가점중에서 무주택 기간 산정에 있어서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신가 봅니다.
지원하시고자 하는 아파트 단지에 청약을 하실때에는 꼭 청약 홈페이지나 모델하우스에 문의를 하셔서 가점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니시면 한국감정원 청약홈에서 자신의 청약 가점에 대해서 살펴 볼 수 있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무주택 기간 사정시 가구원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한다는 것과 더불어 가구원 중에 누군가가 집을 매매했던 적이 있으면 무주택 기간 산정에서 빠진다는 점도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소중한 내 청약 통장을 부적격 당첨으로 1년간 그냥 바라만 볼 수는 없잖아요.
경기도 법인發 급매, 개인이 다 받아냈다
https://sedaily.com/NewsView/1ZAJ79K00A
지난 7.10대책때 법인들에 대해서 주택에 대한 강력한 세금을 매기면서 보유세에 대한 압박이 엄청나게 가해지게 되면서 주택을 보유하는 것이 힘들어지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들 법인들에게 2021년 6월 이전에 매물을 정리할 시간적 여유를 줬는데요. 이 법인이 내놓은 매물을 개인들이 매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20년 상반기 경기도 지역 법인, 아파트 집중 매입했던 곳 → 7.10대책으로 하반기 법인들 급매물 내놓으면 개인들 대거 사들여
올 상반기 법인이 아파트를 집중적으로 매입했던 곳이 경기도다. 이런 가운데 하반기 들어 법인이 내놓은 급매물을 개인이 대거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7·10대책’을 통해 법인 보유 주택에 강력한 세금을 매기면서 이들이 내놓는 급매물이 일대 아파트값을 하락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개인이 법인발(發) 급매물을 흡수하면서 정부의 ‘큰 그림’이 어그러지는 모양새다.
'20년 7.10대책, 법인의 주택 매입 차단키 위해 세금 중과, 종부세 최고세율 6% 적용 등
정부는 법인의 주택 매입을 차단하기 위해 세금을 중과하는 등 각종 조치를 취했다.
법인의 취득세율을 강화하고 3주택 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에 위치한 주택을 2가구 이상 보유한 법인에 대해 종부세 최고세율인 6%를 적용하도록 했다.
정부, 법인의 부동산 거래 막으며 급매물 유도, 아파트 가격 끌어내릴 것으로 예상, 법인 세금 부담으로 대거 매물 처분 시작, 개인이 법인 급매물 소화
정부는 법인의 부동산 거래를 옥죄면 급매물이 늘면서 아파트 가격을 끌어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각종 세금 부담을 견디지 못한 법인들이 대거 매물을 처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전국 전셋값이 급격히 오르는 등 부동산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30대를 중심으로 대거 ‘패닉바잉(공황구매)’에 나서면서 개인이 법인 급매물을 소화한 것이다.
한국감정원, 지난 7월~10월간 개인이 법으로 매입한 아파트 총 1만 8,511건 / 전국 거래 100건중 6건은 개인이 법으로부터 매입
2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전국에서 개인이 법인으로부터 매입한 아파트는 총 1만8,511건이었다. 이 기간 법인→개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6.5%에 달했다.
전국 아파트 거래 100건 가운데 6건은 개인이 법인으로부터 매입했다는 의미다. 앞서 상반기(4.2%)와 비교하면 2.3%포인트 증가했다.
경기도에서 법인→ 개인 거래 늘어 : 수원권선 > 하남 > 성남 > 평택 > 고양 > 용인 > 화성
세부적으로 보면 경기도에서 법인→ 개인 거래가 늘었다. 법인→개인 거래 비중이 올 상반기에는 3.6%에 불과했는데 하반기에는 6.3%로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원 권선구의 경우 올 7~10월 법인→개인 거래 비중이 22.4%에 달해 상반기(3.0%) 대비 급증했다. 하남(1.4%→15.8%), 평택(2.9%→11.4%) 또한 해당 거래 비중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외에도 성남(10.8%→14.4%), 고양(4.7%→7.2%), 용인(2.4%→5.0%), 화성(5.4%→7.0%)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법인→개인 거래 비중이 증가했다.
이들 지역은 대체로 올해 초 법인 매수세가 거셌던 지역이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수원 권선구에서 법인이 개인으로부터 아파트를 매수한 건수는 388건으로 전체 거래 유형의 8.8%를 차지했다. 평택(13.6%), 화성(10.8%), 용인(5.9%), 고양(5.0%) 등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 2020년 7.10대책때 정부는 법인의 주택 매입을 차단하기 위해 세금을 중과하는 등 각종 조치를 취했습니다.
법인의 취득세율을 강화하고 3주택 이상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에 위치한 주택을 2가구 이상 보유한 법인에 대해 종부세 최고세율인 6%를 적용하도록 했습니다.
이 대책을 내놓으면서 정부는 법인의 부동산 거래를 막고 법인들이 소유하고 있는 매물들을 급매로 내놓게끔하여 상승하고 있는 아파트의 가격을 끌어내려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하였습니다.
일단 예상대로 법인들이 세금부담등으로 인해 대거 매물로 내놓으면서 처분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급매로 내놓은 매물들을 개인들이 받아내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전국적으로 너무 올라 버린 전세가격으로 인해 차라리 매매를 하겠다는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로또가 된 청약시장에서 청약가점이 안되어 당첨권에서 벌어진 30대들이 대거 아파트 매입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현재 40~50대가 주축이 되었던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30대들이 더 많이 매입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더욱 수요가 몰리고 있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특히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세수요자들도 매매수요자로 변모하여 가세하다 보니 이들 법인들이 내놓은 매물들에 대해서도 주변시세보다 싼 급매라면 바로 소화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의도하는 상황은 법인매물로 부동산에 조정이 되길 예상하였으나 법인매물이 전체 매물에 비해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많지 않은 것도 있지만 법인 매물들을 개인이 다 받아주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조정이 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년 뒤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올해 3분의 1토막
https://www.sedaily.com/NewsView/1ZAJ75WZGS
서울 입주아파트 5만→2만→1만가구 ‘뚝뚝’…전세시름 더 깊어진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ZAJ74E0AH
서울경제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집계한 결과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020년 5만 234가구에서 2021년 2만 5,931가구로 줄고 2022년에는 1만 7,010가구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런데 2년 연속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내년보다 내후년 감소 폭으로 감소한다고 하네요.
부동산114, 2020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5만234가구 평년보다 많아/ 수도권 19만가구/ 전국 36만가구로 적지 않은 규모
부동산114 통계를 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5만234가구로 평년(4만여가구)보다 많다. 수도권은 19만가구, 전국은 36만가구로 적지 않은 규모다.
임대차 시장 바로미터인 아파트 입주 물량만 놓고 보면 현재의 전세 대란이 벌어진 이유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세난의 원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 각종 규제에, 새 임대차법 시행, 전세나올 매물 사라져
전세난의 원인은 바로 정부의 집값 정책이다.
각종 규제에다 새 임대차법 시행까지 겹치면서 전세로 나올 매물이 자취를 감추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실’에 따르면 서울의 전세 매물은 임대차법 개정 직전인 지난 7월 중순 4만3,354개에 이르렀지만 이달 24일 현재 1만3,165개로 69.7% 감소했다.
2021년 아파트 입주물량 내년과 내후년 급격히 줄어들어, 서울 5만 > 2만 > 1만 가구로 줄어, 전세난 장기화될 가능성 높아
문제는 내년 이후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내년과 내후년에 급격하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서울만 놓고 보면 입주 물량이 올해 5만가구, 내년 2만가구, 내후년 1만가구로 줄어든다.
정부는 현재 규제 정책을 유지하는 대신 ‘빌라·호텔 전셋집’으로 시장을 안정시킨다는 계획이지만 이를 믿는 전문가는 없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내년과 내후년은 입주 물량이 줄어 지금의 시장 분위기라면 전세난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부동산114,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20년 5만234가구 → '22년 1만7,010가구 감소
부동산114에 의뢰해 집계한 결과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 5만234가구에서 오는 2022년에는 1만7,010가구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 '20년 19만2,011가구 → '21년 14만934가구→ '22년 13만4,408가구 계속 감소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도 올해 19만2,011가구에서 내년에 14만934가구로 감소하고 2022년에는 13만4,408가구로 줄어든다.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 '20년 36만가구 → '21년 25만가구→ '22년 24만가구 계속 감소
전국 기준으로는 올해 36만가구에 이르는 입주 물량이 내년에 25만가구로 줄고 2022년에는 24만가구로 감소한다.
정부,11·19 전세 대책, 공공전세 물량 '22년까지 11만4,000가구 공급, '21년 상반기 4만9000가구 집중공급계획
정부는 ‘11·19 전세 대책’에서 이 같은 입주 물량 감소분을 ‘빌라 및 호텔 전셋집’으로 상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공공 전세 물량을 2022년까지 11만4,000가구 공급한다. 내년 상반기까지는 4만9,000가구를 집중 공급한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정부의 전세대책 효과 힘들듯, 시장이 원하는 것은 아파트, 전세난을 호소하는 주된 계층은 아파튼 수요자 대부분
시장에서는 정부의 전세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감소하는 주택은 아파트인데 정부가 늘리는 주택은 연립주택이나 다세대, 호텔 개조 주택이다.
공공 임대주택이 아파트 전세 수요자들을 만족시켜 흡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시장의 반응이다.
여 수석연구원은 “1~2인 가구의 경우 단기적으로 숨통을 틔울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전세난을 호소하는 주된 계층은 (빌라나 호텔이 아닌) 아파트 수요자가 대부분인데 이들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주거 형태로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 보니 공급 대책이 실현되더라도 (전세난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현재 불고 있는 전세 대란이 멈추지 않는 가운데 오는 2022년 서울 지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내년에도 2만가구대로 떨어지는 데 내후년에는 1만가구 수준이 될 것이라고 부동산114 통계에서 밝혔는데요.
이에 정부는 이번 20년 11.19 전세 대책때 호텔까지 개조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장 내년 상반기에 4만 9000가구를 공급하고, 공공 전세 물량을 2022년까지 11만4,000가구 공급한다고 밝힌 것인데요.
문제는 이들 공공 전세 물량이 1~2인가구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 물건은 연립주택이나 다세대, 호텔개조 주택이기 때문에 전세난을 호소하는 주된 계층인 3~4인 가족 구성원들이 원하는 아파트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렇다 보니 공급대책이 실현된다고 하더라도 전세난은 여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내년 내후년에 입주물량 감소는 매매시장보다는 임대차 시장에 더 큰 불안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전문가분들도 입주물량 등을 고려하면 당분간 이런 전세난은 수년에 걸쳐서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전월세상한제에 다주택자 규제로 민간 전세 공급을 막는 현재 정책으로는 시간이 지날수록 전세난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이번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주택자들에게 묶여 있는 각종 규제를 풀는 것이 먼저 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야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면서 매물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안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년에도 집값 더 오른다"…한은주택전망지수 역대 최고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1/1210030/
2020년 11월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1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30으로, 2013년 1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앞으로도 집값이 계속 오를거 같다는 전망입니다.
2020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61350&menuNo=200690&pageIndex=1
주택가격전망지수
현재 시점 대비 1년 후 주택가격에 대한 소비자 심리를 나타낸 지수로, 100보다 클 경우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았음을 의미한다.
이번 한은 조사는 전국 도시 2500가구(응답 2366가구)를 대상으로 2020년 11월 10~16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국은행, 11월 소비자 동향 조사, 주택가격전망지수 130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달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30으로, 2013년 1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8포인트 오른 수치다.
한은, 2020년 9월 일시적으로 상승 멈췄지만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 지속, 심리에 영향 미쳐, 집값 상승 전망 전 계층 고르게 나타나
한은 관계자는 "(주택가격전망지수가) 9월에 일시적으로 상승을 멈췄지만 이후에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심리에 영향을 미쳤다"며 "집값 상승 전망 응답은 전 계층에 걸쳐 고르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24차례에 달하는 부동산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집값 안정이라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국민들은 집값 상승에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주택전망지수, 지난달 122보다 높은 130
주택전망지수는 지난 2월 투기 수요 차단 규제가 나온 뒤 3월 112에서 4월 96으로 하락했으나 6월에 다시 112로 올랐다. 이후 주택시장 안정 대책,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 등 정부 정책이 잇달아 발표된 7, 8월에는 125까지 상승했다. 9월(117)에 잠시 주춤했지만 지난달 122로 120대를 회복했다.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자 37명 - `수도권 집값 급등의 원인` 설문 결과 76%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전문가들은 "부동산 관련 정부 정책이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고 지적했다.
지난 8월 한국경제학회가 경제학자 37명을 대상으로 `수도권 집값 급등의 원인`에 대해 설문한 결과 76%가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를 원인으로 꼽기도 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 정책이 경제원리에 기반하지 않고, 다주택자들을 투기꾼으로 몰아 규제하는 편가르기식 대책이었다"고 했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집값 상승에 대한 국민들 기대감은 역대 최고치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2020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 전 계층이 고르게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2013년 1월 통계 작성이래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주택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 정부는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궁금해 지네요.
경제학자분들도 수도권 집값 급등의 원인으로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에 그 원인이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말입니다.
정부의 스텐스가 바뀌지 않은 한 이번 서울, 수도권의 상승장은 장장 7년이 아닌 8년, 9년동안 상승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1020세대 `패닉바잉`…전세난에 노후 준비 제치고 `자녀 집 마련` 돌입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1/1197079/
2019년 1월 20대 이하 연령에 대해서도 아파트 매입률을 집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 20대 이하 연령대에서도 아파트 매입이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파트 매입자 연령대별 현황, 2020년 10월 전국 아파트 매입 20대 이하 연령, 9월 2848가구보다 25% 오른 3561가구, 전체 가구중 5.4% 해당
한국감정원이 20일 발표한 `아파트 매입자 연령대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10월 20대 이하가 전국에서 매입한 아파트 수는 9월 2848가구보다 25% 오른 356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6만6174가구의 5.4%에 해당한다.
이같은 수치는 20대 이하 아파트 매입률 집계가 시작된 지난해 1월 이후 처음이다.
20대 이하 지역별 아파트 매입률 인천(7.6%), 세종(6.2%), 경기(6.0%), 대전(5.2%), 서울(5.1%), 부산(4.6%), 대구(4.4%), 광주(4.3%) 순
20대 이하 지역별 아파트 매입률은 인천(7.6%), 세종(6.2%), 경기(6.0%), 대전(5.2%), 서울(5.1%), 부산(4.6%), 대구(4.4%), 광주(4.3%) 순이다.
30대의 아파트 매수 비율, 역대 최고치인 38.5% 기록
30대의 아파트 매수 비율 역시 역대 최고치인 38.5%를 기록했다.
지난 6월 32.4%에서 꾸준히 증가해 8월 36.9%, 9월에는 37.3%까지 올랐다.
임대차3법 시행 이후 전세난 심화로 인한 30대 중심 매입, 20대 이하도 매입 증가
전문가들은 "임대차3법 시행 이후 전세난 심화로 인한 30대 중심의 서울·수도권 중·저가 아파트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구매 행렬에 원래 매수 비중이 낮았던 20대 이하도 `패닉바잉`에 휩쓸렸다"고 설명했다.
20대 이하가 아파트 구매 비용, 대부분 부모 세대에서 나와, 부모세대 노후준비보다 자녀 집마련 해결
또 일부 전문가들은 "20대 이하가 아파트를 구매하는 돈은 대부분 부모 세대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며 부모들이 노후 준비를 제쳐두고 `자녀 집 마련하기`부터 해결하려는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22일 대법원에서 제출받은 `집합 증여 현황`에 따르면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지난 7월 11일부터 8월 10일간 수도권 아파트 증여는 1만3515건으로 상반기 월평균(2831건)보다 4배 이상 늘었다.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30대 이하 연령대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임대차3법 시행 이후 전세난 심화되면서 30대 중심의 서울·수도권 중·저가 아파트를 매입하는 분위기에 매수 비중이 낮았던 20대 이하도 매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20대 이하는 아파트를 매입할 자금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부모세대에게서 나왔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모세대가 자신들의 노후 준비를 제쳐두고 "자녀의 집마련"을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수도권의 7월,8월달 아파트 증여가 2020년 상반기 월평균 보다 4배나 많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집값이 계속 상승하다 보니 더 이상 자녀세대가 성장했을때 아파트를 살 수 없을 것이라는 위기감에 20대 이하 연령에서도 매입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40,50대가 주축인 매매시장에서 지금은 30대가 주축이 된 시장으로 바뀌었습니다.
여기에 원래 없던 수요인 20대 이하 연령대의 매매 수요가 더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집값은 계속 상승할 것이라 예상되네요.
'기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