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02]인허가물량 서울40%,수도권19% 감소/ 대한건설정책연구원,내년 아파트 매매 2%,전세4%상승 전망/ 수원,용인,성남,안양,광명 등 30대 매수1위기사읽기 2020. 12. 2. 07:36728x90
내년 아파트 감소는 前 정권 탓인데, 3~4년뒤 줄어들 물량은?
https://www.news1.kr/articles/?4136216
수도권 아파트 인허가 규모가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9%나 줄었고, 서울만 보면 40%나 급감했다고 합니다. 주택 공급의 선행지수인 인허가만 보더라도 서울, 수도권에 공급이 더욱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2020년 12월 01일,올해 1~9월 아파트 인허가 실적 21만3111가구, 전년 동기 23만43가구보다 7.4% 감소, 서울 40.2% 감소
2020년 12월 0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아파트 인허가 실적은 21만3111가구로 전년 동기 23만43가구보다 7.4% 감소했다.
특히 서울의 감소 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만7056가구로 지난해 2만8527가구에 비해 40.2% 줄었다. 수도권은 10만6094가구로 19.3% 감소했다. 경기만 7만9060가구로 8.6% 증가했다.
구분
2020년
2019년
비율
전국 1~9월 아파트 인허가 물량
21만3111가구
2019년 23만43가구
7.4% 감소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
1만7056가구
2019년 2만8527가구
40.2% 감소
수도권 인허가 물량
10만6094가구
-
19.3%감소
경기도 인허가 물량
7만9060가구
-
8.6% 증가
신규 주택공급 줄면서, 기존 미분양 소진, 전국 미분양 주택 15개월 연속 감소
신규 주택공급이 줄어들면서 기존 미분양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총 2만8309가구로, 15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꾸준히 감소세다.
2020년 09월 준공 후 미분양은 총 1만6838가구로 1만7781가구였던 전월보다 5.3%(943가구) 줄었다.
불과 4개월전, 서울의 주택공급 부족하지 않다. 최근 서울의 인허가,착공,입주 물량 평균의 20~30%많은 수준이라 주장
상황이 이렇지만,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4개월 전까지만 하더라도 서울의 주택공급이 부족하지 않다고 했었다. 김 장관은 한 라디오방송에서 "서울에서 연간 4만채 이상 아파트가 공급되고 있고, 최근 3년간 서울의 인허가·착공·입주 물량도 평균보다 20~30% 많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정부, 그동안 서울,수도권의 주택 공급 충분하다 - 아파트 인허가 와 공공택지 지정 취소
그동안 정부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주택공급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전세대책에서 아파트 물량이 빠진 것과 관련 이전 정권에서 아파트 인허가와 공공택지 지정이 취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절대적인 공기가 필요한데 지금에 와서 아파트 물량이 부족하다고 해도 정부는 공급할 수 없다는 얘기다.
빌라, 다세대 위주의 전세대책 뭇매로, 아파트 부족 인정, 대신 빌라 등 질 좋은 임대주택 공급계획 밝혀
김 장관의 입장이 바뀐 것은 빌라·다세대 위주의 전세대책이 시장에서 집중포화를 맞으면서다.
김 장관은 지난달 30일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전세난의 진원지로 꼽히는 아파트 부족 현상에 대해 "아파트는 공사기간이 많이 걸려 당장 마련하는 것은 어렵다"며 "아파트 대신 빌라 등을 확보해 질 좋은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2021년과 2022년 아파트 공급 물량이 줄어드는데, 5년 전에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대폭 줄었고 공공택지도 상당히 많이 취소됐기 때문이다"면서 "아파트는 절대적인 공기가 필요한데 지금 와서 아파트 물량이 부족하다고 해도 정부는 공급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 재건축에 대한 규제 완화는 고려하지 않아, 재건축 규제 풀면 최소한 10년 걸려
그러나 정부는 재건축에 대한 규제 완화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김 장관은 같은날 현안질의에서 "(전월세 대책으로 재건축 규제 완화는)부적절한 대책"이라며 "재건축 규제를 풀어서 (주택을)보급하려면 최소 10년은 걸린다"고 발언했다.
전문가들, 전세난의 원인 집권초기 틀어막은 규제, 인허가 감소이외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세금강화 등의 규제
전문가들은 현재 전세난의 원인으로 집권 초기 때부터 틀어막은 규제를 지목하고 있다.
인허가 감소 외에도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세금강화 등의 규제가 이어졌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최우선으로 거래시장이 정상화돼야 임대시장이 정상화되는데 각종 규제로 인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분양가 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등 요인으로 재개발·재건축 시장의 정체됨에 따라 중장기적인 공급도 쉽지 않다"고 했다.
이어 "주택 공급 측면에서 각종 규제에 묶여있는 재개발·재건축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하지만 현 정부의 정책 기조가 있어서 본인들이 정책 측면에서 실책을 범하더라도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는 현 기조를 밀고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 개시되는 시점까지만이라도 임대차 3법 등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실거주 요건을 강화한 재건축 규제만 완화해줘도 당장의 급한 불은 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수도권 아파트 인허가 규모가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19%나 줄었고, 서울만 보면 40%나 급감했다고 합니다.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만7056가구로 지난해 2만8527가구에 비해 40.2% 줄었고, 수도권은 10만6094가구로 19.3% 감소했습니다.
그나마 경기도는 7만9060가구로 8.6% 증가했습니다.
그렇지만 당장 2021년부터는 아파트 공급이 대폭 줄어들면서 신규 입주물량이 없다 보니 당장의 전세난과 집값 상승에 대해 별다른 해결책이 없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당장의 전세난과 집값 상승도 문제지만 앞으로 3~4년뒤에도 공급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에는 주택 공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재개발, 재건축이 아니면 주택을 늘릴 방안이 마땅치 않습니다.
그렇지만 정부초기에 묶어 놨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세금강화 등의 규제 등으로 인해 재개발, 재건축 시장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전문가분들은 재건축의 규제만이라도 한시적으로 풀어서 당장 급한 불이라도 꺼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는 입장입니다.
그렇지만 이번 정부에서는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정책이 정해지면 끝까지 밀고 가는 강직성을 보이고 있고 부동산만큼은 끝까지 잡겠다고 하였기때문에 이번 정부가 끝날때까지 계속 이런 정책 기조는 이어질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내년, 내후년에 전세난으로 인한 전세가격 상승, 그리고 전세가격 상승으로 인한 매매가격 밀어올리기는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올해도 이렇게 올랐는데…"내년 아파트 전셋값 4% 더 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20111404650254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 여파로 올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전셋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내년에도 전셋값이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21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2%, 전세가격 4% 상승 전망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1일 진행한 '2021년 건설, 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2%, 전세가격이 4% 오를 것이란 전망을 제시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년 말부터 올해 10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6.15%, 전세가격은 5.72% 각각 상승했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보다 상승폭은 둔화되겠지만 가격 오름세는 이어갈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해당 전망치, 2021년 정부가 계획한 공공주택 공급물량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는 전제
이런 전망치도 내년 정부가 계획한 공공주택 공급물량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는 전제로 추산된 것이다.
정부는 2021~2025년 공공주택 공급량을 연평균 17만호로 평년의 2배 규모로 늘릴 방침이다.
이에 더해 11.19 대책에서 발표한 공공전세(1만8000호) 신축 매입약정(4만4000호) 비주택 공실 리모델링(1만3000호) 등 2년간 약 7만5000호의 전세 물량을 다세대, 빌라 등 비아파트 위주로 추가 공급키로 했다.
권주안 연구위원은 "내년 아파트 매매, 전세가격 상승률 전망치는 약 45~54만호 규모가 예상되는 정부 공공물량이 무리없이 진행된다는 가정이 들어간 것"이라며 "하지만 내년 입주물량이 올해보다 크게 줄어 수도권은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세시장 2021년 하반기 안정될 듯
그는 또 전세시장이 내년 하반기 안정될 것으로 본 이유에 대해선 "1989년 임대차법 개정으로 전세계약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할 때와 같은 패턴으로 정책 시행 9~12개월 이후 상승세가 진정될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토지 보상금 52조원 중 22조원 시장에 유입되는 등, 유동성 문제 해결되지 않는 이상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질 듯
정부가 대출, 세금 등 각종 규제를 강화했지만 유동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권 연구위원은 "3기 신도시와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추진에 따른 보상금 52조원 중 약 43%인 22조원 정도가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2022년까지는 유동성 증가 리스크가 상존할 것"이라고 했다.
2021년, 정부 SOC 투자 확대, 민간 수주는 감소 예상
연구원는 이와 함께 내년 건설경기 흐름도 예상했다. 정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로 공공 토목 분야 일감을 늘겠지만, 민간 주거용 건축 수주 감소로 업계 전체 수주액은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2021년 국내 건설 수주 규모는 올해보다 4% 감소한 172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구체적으로 토목 분야는 올해보다 9% 증가한 47조원, 건축 분야는 올해보다 9.1% 감소한 125조8000억원이 예상된다.
한국판 뉴딜 추진 및 노후시설 투자 확대, 토목투자 증가 / 민간부문 주거용, 비주거용 건축 수주 조정
박선구 연구위원은 "2021년 정부 SOC 예산이 올해보다 11.9% 증가한 26조원으로 사상 최대 금액이 책정됐고 한국판뉴딜 추진 및 노후시설 투자 확대로 토목투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민간부문 주거용, 비주거용 건축 수주는 기저효과와 부동산 규제로 일부 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전문건설업 계약액은 올해보다 1% 증가한 99조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공공투자 호조로 원도급 공사는 올해보다 2% 증가한 36조원, 하도급 공사는 올해보다 0.3% 증가한 63조8000억원 규모로 예측됐다.
민간 부분 공급 위축, 내년 상반기까지 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
정부 주도의 공공주택 물량 공급이 예정돼 있지만 민간 부분의 공급이 위축되면서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전일 국회에서 "내년 봄 즈음 전세시장이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보다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서 2021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2%, 전세가격은 4%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이 전망치는 2021년 정부가 계획한 공공주택 공급물량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는 전제로 추산된 것이라고 합니다.
이는 정부는 2021~2025년 공공주택 공급량을 연평균 17만호로 평년의 2배 규모로 늘린다고 하였고,
여기에 더해 2020년 11.19 전세대책에서 발표한 공공전세(1만8000호) 신축 매입약정(4만4000호) 비주택 공실 리모델링(1만3000호) 등 2년간 약 7만5000호의 전세 물량을 다세대, 빌라 등 비아파트 위주로 추가 공급한다는 가정하에서 만들어진 전망이라고 합니다.
결국 정부가 계획한 공공물량들이 무리 없이 진행된다는 가정하에서도 여전히 공급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다시 되짚어 보자면 정부가 계획한 공급물량이 제대로 지켜진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전세가격은 위의 2%, 4% 보다는 훨씬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연구원에서는 3기신도시와 GTX 추진에 따라 토지 보상금 52조원중 약 22조원이 다시 부동산 시장에 유입되게 되면 이로 인한 유동성 문제로 인해 2022년까지 계속 주택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민간 주거용 건축수주가 계속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SOC투자 확대로 공공 토목 분야의 일감을 늘리면서 민간 주거용 건축 수주가 감소하고 있고 부동산 규제등으로 인해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추진하기 힘든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신규 주택 공급이 원할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정부 주도의 공공주택 물량 공급이 예정돼 있지만 민간 부분의 공급이 위축되면서 적어도 2021년 상반기까지 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이렇게 규제로 인해 민간부문에서 적절한 공급이 나오지 않는다면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 시키진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연구원에서 전망하는 2022년까지 주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부분과 앞으로 3~4년 이후 주택 공급이 줄어드는 부분에 있어서 보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 3개월 연속 아파트 제쳤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67303&code=11151500
임대차 2법이 시행되고 난 이후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3개월 연속 아파트를 넘어섰습니다. 지난 2020년 09월부터 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다세대·연립주택 거래 비중이 늘었다고 하네요.
서울부동산정보광장, 2020년 10월 서울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 4590건/ 아파트4339건 보다 많아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는 총 4590건으로 아파트(4339건)보다 많았다. 자치구별로는 은평구(482건)와 강서구(420건) 거래량이 가장 많았고 양천구(364건), 강북구(360건), 강동구(261건), 중랑구(235건), 송파구(232건) 등이 뒤를 이었다.
2020년 9월부터 거래량(4012건)이 아파트 거래량(3767건)을 앞지르기 시작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은 통상 아파트 거래량보다 적었지만 9월부터 거래량(4012건)이 아파트 거래량(3767건)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집계가 끝나지 않은 11월도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1809건으로 아파트(1726건)를 앞서고 있다.
전세난과 아파트 규제의 영향, 실수요자, 투자자 모두 다세대·연립주택 몰려, 아파트 전세구하기 힘들어져, 일종의 풍선효과
전세난과 아파트 규제의 영향으로 실거주자와 투자자가 모두 다세대·연립주택으로 몰리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아파트 전세를 구하기 힘들어지면서 다세대·연립주택 전세·매매, 중저가 아파트 매매 등으로 일종의 풍선효과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서울의 전세수급 현황, 2020년 09월부터 급속도로 악화
실제로 서울의 전세수급 현황은 9월부터 급속도로 악화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7월 174.6이었던 전세수급지수는 8~9월 180대로 들어섰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넘으면 공급이 수요보다 부족하다는 의미인데 이 수치가 10월에는 191.8, 11월은 192.8로 최악의 전세난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량 회복세, 10월 거래량 전달 대비 572건 늘어난 4339건
다만 아파트 거래량은 최근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해 10월 거래량이 4339건으로 전달(3767건)보다 572건 늘었다. 거래량 증가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 부동산의 주간(11월 23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수우위지수는 전주(90.2)보다 4.3포인트 오른 94.5를 기록했다.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넘으면 매수세가 활발하다는 뜻인데 11월 초에는 80.3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임대차 2법이 시행되고 난 이후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3개월 연속 아파트를 넘어섰습니다.
지난 2020년 09월부터 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다세대·연립주택 거래 비중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는 임대차 2법의 영향으로 전세품귀현상에 따른 전세난과 더불어 아파트 규제의 영향으로 실거주자와 투자자들이 아파트 전세를 구하기 힘들어지면서 다세대·연립주택 전세·매매, 중저가 아파트 매매 등으로 일종의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세가격이 급상승하는 상황에서 매매가격 또한 상승하면서 집을 갖지 못한 불안심리로 인해 가격만 맞다면 매매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부디 다세대, 다가구 등 연립주택이나 빌라 등을 매매 하실때는 꼭 여러 부동산을 다녀보시길 바라며, 주변시세를 제대로 파악하신 후에 매입하시길 바랍니다.
30대, 아파트 `패닉바잉` 서울 넘어 경기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12/1236219/
30대가 서울 외곽을 넘어 인근 수원 용인 성남 등 경기도 핵심지에 위치한 아파트를 많이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까지만 해도 이들 지역에서는 40대가 `큰손`이었는데, 2020년 들어 30대 매수세가 강해지면서 역전하였다고 합니다.
경기도 전체 아파트 매매거래량, 40대가 30대보다 많아, 7000건 정도 앞서
물론 지난해와 올해 경기도 전체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연령대별로 보면 여전히 40대가 강세다. 지난해 40대는 총 4만2185건을 매수해 30대(3만4386건)를 여유 있게 앞섰다.
지난해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매량(2만691건)이 40대(2만562건)를 근소한 차이로 추월한 것과 대비된다.
올해도 경기도 전체로 봤을 땐 40대가 6만4864건을 매입해 30대(5만7522건)를 7000건 이상 앞지르고 있다.
올해 특이한 점은 경기도 내에서 30대가 40대를 역전한 지역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광명시, 수원, 용인, 성남, 안양 평촌 등 5곳 30대 강세
지난해엔 경기도에서 광명시만 30대가 유일하게 40대를 앞섰는데, 올해는 상반기 큰 폭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보여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 수용성(수원·용인·성남), 1기 신도시 평촌이 위치한 안양시까지 추가됐다. 경기도 시군 31곳 중 5곳이 30대 강세 지역인 것이다.
지난 8월 수원 영통역 인근 구축 아파트 전용면적 60㎡를 갭 1억원(매매가격 3억원대 초반, 전세가격 2억원대 초반)에 구매한 30대 중반 이장혁 씨(가명)는 "직장(서울 강남)과는 거리가 꽤 되지만 그래도 행정구역이 수원이고 인근에 광역버스도 있어서 투자가치가 높다고 판단했다"며 "수원 대장주인 광교가 대폭 상승하는 것을 보면 영통 지역도 아직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평촌역 인근 구축 아파트 전용 50㎡를 올해 초 4억원대 초반에 구매한 30대 신혼부부 김정훈 씨(가명)도 "1기 신도시여서 기반시설이 잘 구축돼 있고 좋은 학군이 있다는 것이 평촌의 장점"이라며 "강남·여의도 출퇴근도 1시간 내로 가능하고, 향후 월곶~판교선이 뚫리면 판교까지도 가까워 평촌을 택했다"고 밝혔다.
30대들이 주로 아파트를 매매한 곳, 경기도내 서울 남쪽(경기 남부지역)
입지를 보면 30대들이 주로 아파트를 매매한 곳은 경기도 내에서도 서울 남쪽(경기 남부지역)이다.
강남과 판교로 이어지는 새로운 경제 중심축에 일자리가 몰리면서 30대의 직주근접 수요가 분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원, 용인, 기흥 중심 상승세 - 구축에 입지가 좋진 않아도 광역교통망 등이 있어 출퇴근 가능하며 판교의 반값이어서 투자가치 판단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은 "30대의 매수 패턴을 보면 올해 상반기 수원, 그리고 하반기엔 용인 기흥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두드러지고 이로 인해 가격이 올라가고 있다"며 "새 아파트가 아니고 아주 입지가 좋진 않아도 광역교통망 등이 있어서 출퇴근이 가능하고 판교에 비해 거의 반값이어서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30대, 자녀가 없거나 1명이 경우 많아 소형평수 많이 매매
상대적으로 소형 평수가 많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11월 경기도 아파트 매매거래를 전용면적으로 판단한 결과, 용인시를 제외한 상위 4개 시·군·구(김포, 파주, 광주, 고양)에서 40대 매수세가 강했다. 이들 지역의 매매 아파트 평균 전용면적은 85㎡(약 34평)로 방 3개, 화장실 2개가 많았다.
아무래도 자녀가 있는 40대들은 주거의 질에 더욱 신경 썼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30대들은 자녀가 없거나, 있어도 1명인 경우가 많아 소형 평수를 더욱 많이 샀을 것으로 전망된다.
30대분들이 상당히 부동산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이때껀 부동산을 매매하시는 분들의 주류는 40~50대 연령대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2019년 부터 30대 분들의 매매 건수가 증가하면서 올해는 경기도에서 5곳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 5곳을 살펴보면 수원, 용인, 성남, 안양, 광명 등지입니다.
이들 지역의 공통점은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다는 것입니다.
이 지역들의 대부분은 서울,판교,수원등의 일자리와의 시간적 거리가 가까운 지역들입니다.
그렇다 보니 경기도 남부지역에 30대분들의 매수세가 두드러진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강남, 판교, 광교 등의 시세와 비교했을때 거의 반값에 투자가치까지 고려하여 매입하는 것으로 보아 충분히 이 지역들에 대한 공부를 하고서 매매를 하신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더욱이 중형보다는 소형 평형대로 가격에 대한 부담을 덜면서 가장 상승율이 높은 소형평수를 가장 많이 매매하신 것도 부동산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를 하신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렇다 보니 이렇게 30대들이 투자한 수용성과 안양·광명이 경기도에서도 올해 가격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고 합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들 5개 지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은 올해 1~10월 기준 13.3%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30대분들이 아파트를 매매하시는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패닉 바잉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기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