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10.30]서울 전세값 70주 연속상승/ 월세비중 급증/ 전세대란속 주전매매 늘어/ 2020년 서울 정비구역 지정 늘어, 마천1구역 지정 등/ 위례 트램 2021년 착공기사읽기 2020. 10. 30. 06:50
"계속 오른다"...서울 전세값 70주 연속 상승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9/2020102901416.html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가을 이사철과 맞물려 70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이 도입된 이후로도 서울 전셋값은 계속 상승중입니다.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http://www.kab.co.kr/kab/home/cyber/cybernoticeDetail.jsp 한국감정원 10월 넷째주(26일기준), 서울 전세가격 0.10% 상승, 상승율 확대 29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6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값은 0.10%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셋째 주..
-
[20.10.29]지분적립형 주택, 할부로 주택 매매/지분적립형1호, 서초구 성뒤마을?/ 하남교산지구 문화재 발굴 지역 50%, 3기신도시 2025년 첫분양 글쎄?/ 50조 보상금부동산공부 2020. 10. 29. 07:36
10억 아파트 2억에 입주?… ‘지분적립형 주택’ 카드는 시장에 먹힐까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102815478076806 [단독]지분적립형 1호…강남 마지막 ‘판자촌’ 성뒤마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91526625937512&mediaCodeNo=257&OutLnkChk=Y 2020년 10월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지분적립형 분양 주택을 통해서 30~40대에게 내집마련기회를 주겠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토지·건물 지분의 20~25%만으로 주택을 분양받아 입주할 수 있는 모델이다. 입주후 공공지분에 대해서는 임대료를 지불하고 ..
-
[20.10.28]공시가 90%로드맵 발표/ 소비심리 91.6 상승, 주택가격전망 CSI 112 상승/ 공공재개발,근린상가 입주권 부여 논란/ 남양주 별내자이더스타 1순위 8만명기사읽기 2020. 10. 28. 07:43
집값 안올라도 반포 보유세 5년뒤 2.2배… 전문가 “조세저항 클것”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1028/103664498/1 2020년 10월 27일 정부가 모든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일률적으로 시세 대비 9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공식화하였습니다. 시세 15억원 이상의 아파트와 단독주택에 대한 공시가격을 빠르게 올리는게 특징입니다. 2020년 10월 27일 정부가 모든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일률적으로 시세 대비 9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공식화하고 나섰다. 하지만 시세 15억 원 이상 아파트와 단독주택에 대해서 공시가격을 빠르게 올려 보유세 부담을 크게 늘리는 것이 특징이다. 15억 이상 고가 아파트 연평균 3%포인씩 현실화율 높..
-
[20.10.27]남양주 갭투자 전국 1위/부산 수영구 전세가율 전국 가장 낮아/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 공개 예정/ 서울,11월 입주물량 296가구, 2021년 44.7%감소기사읽기 2020. 10. 27. 07:35
"280만원에 아파트 샀다" 남양주서 꿈틀대는 갭투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02616053820881 남양주에서 깨투자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일부 아파트는 280만원에 구입이 가능하다고 전하고 있는데요. 이런 물건 절대 하지 마세요.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잠잠한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전세가격 상승으로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특히 남양주에서 갭투자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아파트는 280만원으로 아파트 구입도 가능했다. 부동산정보업체 '아실', 최근 3개월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매매거래 증가지역 전국 1위 남양주, 전체 1665건 거래중 3.9% 전월세로 놓은 것으로 나타나 2020년 1..
-
[20.10.26]전국 17개지역중 13개 전세가 상승/ 중산층 임대주택·월세대책 나올지도/ 상계1구역 사업시행인가 결정/ 공공재개발 기부채납 50% 방안 논의/ 가계대출 꺾여기사읽기 2020. 10. 26. 07:21
이사철 `전세대란` 가중… 4곳중 3곳 상승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102602101532031001 2020년 10월 25일 한국감정원 주간동향 통계 에서 2020년 10월 19일을 기준으로 전국 17개 지역 중 전주보다 전셋값이 더 오른 지역은 13개 지역으로 전국 4곳 중 3곳은 전셋값이 전주보다 상승하였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신도시 청약 수요와 저금리, 임대차법 영향 등으로 상승, 지방은 인기 단지 위주로 계속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아파트 '전세대란'이 가을 이사철을 맞아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 아파트 '전세대란'이 가을 이사철을 맞아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방에서도 단기간에 전셋값이 급등하는..
-
[20.10.23]전용84㎡기준 7억3000만~8억2000만원/청약일정 동일, 당첨자 발표일 달라 3개단지 모두 청약/과천 푸르지오 오르투스, 어울림 라비엔오, 과천 르센토 데시앙카테고리 없음 2020. 10. 23. 07:35
[부릿지]'당첨금 10억원 로또 6장 사볼까?' 과천 지정타 청약전략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02218160628382 과천지식정보타운 3곳이 민간분양합니다. 2020년 11월 02일 특별분양을 시작으로 2020년 11월 03일 1순위 분양을 한다고 합니다. 전용 84㎡ 기준 7억3000만~8억2000만원 수준의 분양가로 인근 단지 실거래 신고가와 비교해 8억원 가량 낮은 수준이며, 청약 일정은 같지만 당첨자 발표일이 달라 동시에 3개 단지에 모두 청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S4블록 과천 푸르지오 어울림 라비엔오, 679가구 분양 / S5블록 과천 르센토 데시앙, 584가구 분양 / S1블록 과천 푸르지오 오르투스, 435가구 분양 민간아파트에 처음으..
-
[20.10.22]경매,15억원 이상 아파트 감정가 대비 100%이상 낙찰/3·4분기 전국 아파트 증여 건수 최대규모/24번째 부동산 대책 나올듯/의정부재개발 장암3구역,장암1구역기사읽기 2020. 10. 22. 07:44
초고가 '훨훨'…20억까지 떨어진 청담동 빌라, 28억에 낙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29046625935216&mediaCodeNo=E 경매로 물건을 싸게(?) 낙찰 받더라도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동일한 규제가 적용됩니다. 15억원이 넘는 아파트를 낙찰 받게 되면 대출이 나오지 않는데요. 그런데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가 경매 시장에서 잇달아 낙찰되는 건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현금 부자들의 똘똘한 한채 구하기 열풍이 경매시장에서도 확인되고 있다고 합니다. 법원 경매에 부쳐진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고급 빌라가 입찰자가 없어 수난을 겪은 끝에 낙찰됐다. 감정가가 30억원이 넘었던 이 빌라는 잇단 유찰로 최저 입찰가격이 19억원대까지 떨어지자 경..
-
[20.10.20]전세품귀,전세대란/전월세 시장 혼란/ 한두달새 1~2억 뛰어/ 빌라전세도 뛰어/서울서 경기도 인천으로/전세입자 영끌 매수자로 6억원,9억원미만 찾아/내년이 더걱정기사읽기 2020. 10. 20. 07:36
요즈음 전세 품귀 현상으로 전세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 이후 전세대란으로 전세입자과 집주인간의 갈등이 이만저만이 아닌 상황입니다. 임차인을 위한 법안이라며 밀어붙인 법안,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부동산 규제등이 오히려 시장을 더욱 교란시키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에서는 설명자료를 배포하면서 잘못된 통계로 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키지 말라고 당부하는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임대차3법때문이 아니라 금리 인하로 인해 전세가격이 급등하고 전세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백번 양보해서 국토부에서는 시장안정을 위해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이라고 믿어 보겠습니다만 문제는 앞으로 입니다. 서울, 수도권의 일반가구수는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만 주택 공급에 있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