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10.05]대출규제에도 15억초과 아파트 매매 증가/ 20억 초고가 전세도 속출, 집값하락 막나/ 매물 절벽, 미분양 주택 감소/청약가점 올리기, 청약통장 명의이전부동산공부 2020. 10. 5. 07:34
대출 규제에도 '15억 초과' 아파트 매매 급증한 진짜 이유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로 15억 초과 아파트는 대출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도 15억 초과 아파트의 매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축을 중심으로 똘똘한 한채 선호현상과 풍부한 유동성, 전세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전세가율 상승으로 전세끼고 아파트를 매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94232i 2020년 01~08월 서울, 15억원을 초과한 아파트 매매 건수는 4870건 작년 같은 기간(4068건) 대비 19.7% 증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올해 1~8월 서울에서 15억원을 초과한 아파트 매매 건수는 4870건이었습니..
-
[20.09.30]산본 신도시 리모델링, 산본 우륵 첫 조합 설립, 분당 무지개 4단지 등 수평·별동 증축 리모델링/ 속초·고성·서산·통영, 미분양관리지역 제외, HUG 기준완화기사읽기 2020. 9. 30. 08:05
속도내는 1기 신도시 리모델링…산본우륵 첫 조합 설립 2020년 09월 29일 정비 업계에 따르면 경기 군포 산본신도시의 우륵아파트가 최근 리모델링 조합 창립총회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합니다. 산본신도시의 첫 리모델링 조합 설립 단지가 되었네요.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1006536/ 산본신도시의 첫 리모델링 조합 설립 단지, 신본신도시 우륵아파트 산본, 분당, 일산 등 수도권 1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 단지들의 리모델링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29일 정비 업계에 따르면 경기 군포 산본신도시의 우륵아파트가 최근 리모델링 조합 창립총회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 단지는 산본신도시의 첫 리모델링 조합 설립 단지가 됐다. 1994년..
-
[보도자료-국토부-20.09.30]내 집 마련 확대를 위한 청약제도 개선/ 민영주택 생애최초 특별공급 신설 민영 택지 7%,공공택지 25%, 신혼부부 소득기준 일부완화 130%까지부동산공부 2020. 9. 30. 06:47
국토부에서 2020년 09.30 "내 집 마련 확대를 위한 청약제도 개선" 보도자료를 배포하였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7.10.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의 후속조치(청약)로, 생애최초 특별공급 확대, 생애최초 요건을 갖춘 신혼부부 소득기준 완화 등이 포함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일부개정안」 및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일부개정안」이 2020년 09월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즉, 민영주택 분양에 있어서 생애최초에 대한 특별공급 신설하고, 신혼부부 소득기준에 대해서도 일부 완화한다고 하네요. 그럼 보도자료를 토대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국토교통부 - 보도자료 내 집 마련 확대를 위한 청약제도 개선 http://www.molit.go.kr/USR/NEWS/..
-
[20.09.29]서울 전세보증금 승계 36.9%,30대 매입비중 높아/서울 아파트 평균 10억, 전세 5억/ 규제로 인한 서울 전세파동, 거래량 하락, 가격 상승/공공재개발 호응부동산공부 2020. 9. 29. 07:31
[단독]담보대출 막히자… 부모 호주머니-신용대출 ‘영끌’로 집 샀다 국민의힘김상훈의원님께서 서울에서 03∼09월 거래 6만9209건 자금계획서 전수 분석한 결과, 가족에게 돈 빌려 주택 구입한 비중 3월 4.2%→이달 10.6%로 급증하였고, 보증금승계(전세갭투자)도 36.9%를 차지하였다고 하네요. 특히 30대들의 매입비중이 높았다고 합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929/103185558/1 2020년 03월부터 서울에서 제출된 자금조달계획서 6만9209건을 처음으로 전수 조사 정부는 올해 3월부터 자금조달계획서 기재 항목을 세분화해서 누구에게 어떻게 돈을 빌렸는지 등을 더 상세히 적도록 했다. 이번 분석은 이런 항목이 세분화..
-
[20.09.28]서울 월세, 전세 앞질러/ 노원,양천,구로 급등/ 서울아파트 급매물, 신고가 거래 혼재/ 전세낀 물건 안팔린다/ 등록임대주택 의무기간 절반 넘긴 물건나올수도기사읽기 2020. 9. 28. 07:38
[단독] 월세, 사상 처음으로 전세 앞질렀다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반전세 포함)가 전세 물량을 앞질렀다고 합니다. 임대차2법으로 인해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되면서 전체 임대차 거래중 반전세 비중이 최고치를 찍었다고 하네요.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764821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반전세 포함)가 전세 물량 앞질러,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제 등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영향, 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반전세 포함)가 전세 물량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데다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제 등 새 임대차보호법이 지난 7월 31일부터 시행된 영향이다. ‘전세..
-
[20.09.25]서울9억이하오름세지속/목동9단지 안전진단 탈락/한강맨션 재건축 시동/금천구 대한전선 자리 900가구/ 한국자산신탁,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자 지정기사읽기 2020. 9. 25. 09:03
9억 이하 중소형 오름세 지속…안 꺾이는 서울 아파트값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92482441 7·10대책 11주째…떨어지지 않는 서울 아파트값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89744/ 서울 아파트 7.10대책 이후에도 가격이 하락하지 않고 한국감정원 기준 0.1~0.2%씩 계속 상승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가격은 서울 65주째, 경기도 59주째 상승중입니다. 전국 아파트값 전주 0.08%→ 0.09% 오름폭 확대, 수도권(0.06%→0.07%), 지방(0.10%→0.11%) 모두 상승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 0.08%에서 0.09%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6%→0..
-
[20.09.24]서울 25개구 평균아파트 가격 6억원 넘어/ 상가임대차법 개정안 법사위 통과, 한시적 6월 연체시 임차인 퇴거 못해/ 반포3주구 재건축 부담금 4억대/ 세종 거래기사읽기 2020. 9. 24. 07:17
사라지는 서민주택… 서울 25개구 모두 아파트 평균값 6억 넘었다 서울 전역의 34평 기준 매매 평균 가격이 6억이 넘었습니다. 심지어 경기도 중에서도 6곳도 6억원이 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6억원 이하 주택담보대출 기준에 대해 현실화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0/09/24/Y2I5ZCL6DNFRHHZCU33N43FVI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서울 전역에서 34평형(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6억원 돌파 서울 전역에서 34평형(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서민 주택’ 기준인 6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
-
[20.09.23]정비사업 심의건수 줄고,심의소요기간 늘어,서울 공급부족 예고/서울 오피스텔,원룸 전세가격 상승/전월세 전환율 2.5%인하,월세 품귀 예고/ "거래완료" 표기못해기사읽기 2020. 9. 23. 07:20
[단독] 정비사업 심의 1/3토막…서울 공급부족 예고편 공사비 검증등 제도변화로 인해 서울의 정비조합심의건수는 2017년 이후 3년새 건축,사업,관리처분인가는 28건으로 줄어들었고, 심의소요기간은 2배로 늘어났습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79511/ 서울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심의 건수가 근 3년 만에 3분의 1로 급감, 심의건수 줄어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급물량 줄어 주택수급에 문제 생겨 서울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심의 건수가 근 3년 만에 3분의 1로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의 건수가 줄어들면 그만큼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급 물량이 줄어 향후 주택 수급에 문제가 생긴다. 심의를 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 역시 매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