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09.04]입주가능매물과 전세낀 매물 가격 벌어져/ 8.12일이후 주택수 포함, 오피스텔 미분양 속출 / 국토부, 공공분양 공급물량 "착공"기준 부풀려/LH 수도권 주택공급부동산공부 2020. 9. 4. 07:03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으로 전셋가격이 급등하면서 집주인이 직접 살거나 임대차계약 만료가 임박한 '입주가능한 아파트 매물'의 몸값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로 입주가능 매물' 귀한 몸… 전세 낀 집과 가격 더 벌어졌다 [임대차법 시행 한달] https://www.fnnews.com/news/202009031800297925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으로 전셋값이 고공행진하면서 집주인이 직접 살거나 임대차계약 만료가 임박한 '입주가능한 아파트 매물'의 몸값이 높아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으로 전셋값이 고공행진하면서 집주인이 직접 살거나 임대차계약 만료가 임박한 '입주가능한 아파트 매물'의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전셋값이 62주 연속 상승한 ..
-
[20.09.03]부동산거래분석원 설립추진,부동산 빅브라더/ 경기도 양주시 미분양 걱정, 서울과 양극화 심화/주거복지로드맵, 부지확보 기준, 실제공급 차이나/서울 공공주택 계획난황기사읽기 2020. 9. 3. 07:03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단속하는 감독기구인 "부동산거래분석원"을 국토교통부 산하 기구로 추진한다고 합니다. "부동산 빅브라더"우려 때문에 기존 전망치보다 축소한다네요. 베일벗은 `부동산 빅브러더`…대출계좌·稅납부조회 권한 부여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9/907139/ 부동산시장 교란행위를 단속하는 감독기구인 `부동산거래분석원`(가칭)이 국토교통부 산하 기구로 출범한다. 금융감독원처럼 정부 외부에 별도 조직으로 만드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부동산 빅브러더`에 대한 우려 때문에 기존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였고, 기존에 직원 2,000여명 조직 규모 등에 대해 많이 축소하여 80~100명 정도로 구성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빠르..
-
[20.09.02]신목동 파라곤 147대1/ 대전, 천안 실거래가 12억 나와/ 서울,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61주째 상승/ 헬리오 시티, 이전고시 신청못해, 수분양자 매매 불가기사읽기 2020. 9. 2. 07:24
서울 양천구 신월 4구역 재건축단지인 "신목동 파라곤"이 청약 경쟁율 147대 1, 전평형 1순위 마감하였습니다. 서울의 새아파트 수요는 여전히 높습니다. 서울 '신목동 파라곤' 청약 경쟁률 147대 1… 전평형 1순위 마감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90122115824599 홈페이지 : http://www.smd-paragon.com/website/ 84가구 모집에 12334가구 청약, 146.8대 1, 모든 주택형 1순위 청약 마감 서울시 양천구 신월 구역을 재건축하는 '신목동 파라곤'이 세 자릿수 평균 경쟁률을 기록하며 모든 주택형에서 1순위 청약을 마감했다. 2020년 09월 01일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날 1순위 청약을 받은 신목동파라곤은 ..
-
[20.09.01]전매제한규제전 밀어내기 분양, 서울 예정물량 내년으로 넘길수도/경기도,지방 청약율 높아/ 30대 청약가점으로 당첨가능할까?/ 전세물건도 사라지고 있는데..기사읽기 2020. 9. 1. 07:41
계속해서 기사 단신만 올리다가 오랫만에 기사정리를 하게 되었네요. 어제 기사를 읽다가 유독 9월달부터 청약에 관련된 글이 눈에 띄어서 해당 기사들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님께서 30대들이 영끌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씀하시면서 서울, 3기신도시 등에 공급될 신규 아파트를 저렴한 분양가의 분양받을 수 있으니 기다려 보는게 어떨까 라는 발언에 새삼 이슈가 되고 이습니다. 그런데 과연 장관님의 말씀대로 기다려야 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기사들을 읽어보면 30대들이 서울, 경기도 등의 좋은 입지에 청약을 받고자 하더라도 청약 당첨이 거의 대부분 가점제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높은 청약율이 나올 단지들은 분명 청약 가점이 높을 것이되, 30대들은 청약가점이 안되어 청약을 받을 수 없을 듯 한데 ..
-
[20.08.31] 노도강 10억클럽/ 서울외곽 매매 상승/전세가격 상승율 강남구 가장 높아/부산,광주 분양권 전매제한 시행전 거래활발 / 7월 외지인 서울 매입 3,457건기사읽기 2020. 8. 31. 07:01
서울외곽의 매매가격 상승율이 심상치 않습니다. 노도강(노원,도봉, 강북구)에서도 이제 전용 84㎡ 기준 10억원대 아파트가 나오고 있습니다. "10억은 서울 일부 아파트"라더니…노·도·강도 속속 '10억 클럽'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83026791 도봉구 사상 처음 9억원대 진입 아파트 나와, 10억 클럽 진입 2020년 08월 11일 서울 도봉구에서 창동 동아청솔아파트 가 사상 처음으로 9억원대에 매매되었습니다. 노원구와 강북구가 지난 6월 각각 10억원을 찍은 데 이어 도봉구도 사상 처음으로 9억원대에 진입하면서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잇따라 ‘10억원 클럽’(전용 84㎡ 기준) 진입을 하고 ..
-
[20.08.30]KB부동산 매도매수지수 전국 차트 / 서울, 세종 매수 움직임 더 커/ 대전 매수,매도 혼재/ 대구,전남 매수 움직임 상승/ 경기 매수움직임 줄어부동산공부 2020. 8. 30. 06:54
"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의 자료를 근거로 각 시도별 매수자 와 매도자 지수를 차트화하였습니다. 08월 24 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KB부동산의 차트를 살펴보면서 전국적인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자 공부하기 위해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통계를 살펴보시더라도 각 지역별로 세분화하여 보지 못하는 것이기에 제 의견은 그냥 참조만 하시길 바랍니다. 08월 2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보도자료 - KB부동산 8월 1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https://onland.kbstar.com/quics?page=C059745&cc=b061785:b061785&li..
-
[20.08.29]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 - 요약/ 서울,수도권 전주대비 상승/ 세종 매매1.72%,전세 0.34%/경기도 매매,전세 상승/5대광역시 전세 상승/공급부족 심화카테고리 없음 2020. 8. 29. 14:06
2020년 08월 2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 동향 조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전세공급 부족 심화 입니다. 전국 기준으로 전세수급지수는 180을 넘는 상황으로 전세물량이 절대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서울은 2015년 전세대란 때의 전세수급지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08월 2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보도자료 - KB부동산 8월 14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https://onland.kbstar.com/quics?page=C059745&cc=b061785:b061785&listPage=%2Fquics%3Fpage%3DC059745&boardId=733&compId=b061785&..
-
[20.08.28]서울아파트 전세 61주 상승, 전세거래량 전년대비75%급감/ 서울 매매 하위20%1년새 19.5%증가/ 주택담보대출 한도기준, 감정원 시세/ 신목동파라곤 분양기사읽기 2020. 8. 28. 07:21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61주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세거래량은 전년대비 75%나 급감했는데 전세수급지수는 전년대비 27포인트 상승하면서 전세가격 상승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 전망하네요. 연립까지 뛴다, 강남 집값 잡으려다 서민 죽을 맛 https://news.joins.com/article/23858856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1주 연속 상승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24일 기준)은 0.11% 상승하면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1주 연속 올랐습니다. 강남구(0.16%), 송파구(0.16%), 성북구(0.16%), 서초구(0.15%), 마포구(0.15%) 등지가 많이 올랐다고 합니다. 한국감정원 전세수급 지수 119.4 1년전 대비 27p높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