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08.13]은행가계대출 7조 6천억 증가, 전세담보대출 2조 7000억원 증가/ 금융위원장,대출규제 위반 여부 점검/ 서울아파트 평균10억원 돌파, 매매가 11주 연속 상승기사읽기 2020. 8. 13. 06:54
2020년 07월 은행의 가계대출이 역대 최대 폭인 7조6천억 원 증가해했다고 합니다. 최근 전셋값 상승과 6.17 대책 직전 활발했던 아파트 매매에 따른 자금 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 대출로 충당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가계대출 역대 최대폭 증가...전세·신용 대출 급증 https://www.ytn.co.kr/_ln/0102_202008122201218912 빚투에 전세난까지…7월 가계대출 전월보다 9조 급증(종합) https://www.news1.kr/articles/?4024130 2020년 07월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936조5천억 원을 기록하면서 2020년 06월보다 7조6천억 원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증가액은 동월 대비 7월 기준으로는 2004년 관련 통계집계 이후 최대..
-
[20.08.12]OECD 한국 경제성장율 전망치 -0.8% 상향 조정, 한국 집값 다른나라 비해 전국단위로 안정세 /민간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 입주자 5년 거주 의무,전세품귀예상부동산공부 2020. 8. 12. 06:30
OECD가 2020년 한국의 경제성장율 전망치를 -0.8%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37개국 중 1위이지만 2차 대유행이 현실화하면 -2.0%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OECD, 한국 성장률 전망 -0.8%로 상향조정…37개국 중 1위(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00811085551002?input=1195m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보도참고] OECD 한국경제보고서 발표 http://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82726csrUFCHJ2TBUBNDebtR.node4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41853&menuN..
-
[20.08.10]전세자금대출 94조원 한달새 2조 증가/ 전세가격 지수 역대 최고 / 반전세,월세 전환 계약 늘어/ 통계상 반전세는 월세, 은행은 전세대출/ 전세가격상승 지속기사읽기 2020. 8. 10. 07:36
2020년 07월 전세대출이 한달새 2조원이나 늘어남녀서 전세 자금 대출의 잔액 기준 94조원을 돌파하였다고 합니다. 이런 증가 속도면 2020년 말이면 100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7월은 장마와 휴가시즌이 겹치면서 전세 거래가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전세대출이 증가하진 않는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전세 대출이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3040 무주택자들이 전세자금대출을 받아서 집을 매매하는 갭투자가 성행한 요인과 함께 6.17대책 이후 전세가격이 급등하면서 요구되는 전세보증금 가격이 상승하다 보니 전세대출을 더 받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이런 전세가격 상승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
-
[20.08.03]KB부동산 주택시장동향 조사/ 매도매수관망중, 수요 대비 매물 부족,개발 기대감 매도호가 꺽이지 않아/ 가을 이사철 대비 전월세문의, 전세매물 귀해부동산공부 2020. 8. 8. 10:15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8월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강도 줄어드는 중 이며, 전세가격도 상승 완화 중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확실히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 0.39%오르면서 지난주 0.53%보다 상승폭이 낮아졌고, 아파트 전세가격도 지난주 0.29%상승 대비 0.21%로 상승 완화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상승세가 주춤하다고 하지만 지난주 대비 0.39% 는 결코 작은 수치가 아닙니다. 서울의 경우 매도매수 모두 관망중인 상태에서 수요대비 모든 매물이 부족한 상태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실수요 문의가 간간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개발 기대감에 매도호가는 꺽이지 않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 와중에 직장인 수요가 꾸준한 지역에는 여전히 매매 강세가..
-
[20.08.07]서울 아파트 전세 58주째 상승,임대차3법 영향 경기권 확산/서울 매매 9주째 상승/ 행정수도 천도설,세종시 폭등/ 국토부, 전월세전환율 언급/ 전세 불균형 심화기사읽기 2020. 8. 7. 06:16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58주째 상승하며 연일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급등하고 있습니다. 전셋값도 매매값 상승처럼 일명 ‘풍선효과’를 보이며 경기권까지 확대하고 있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규제의 역풍'…서울 이어 경기도 전셋값도 '폭등 - 한국감정원 기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57126625864696&mediaCodeNo=257 임대차3법 효과?..전셋값 57주째 상승, 세종이 1위 - 한국감정원 기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80613402304858 서울 집값 상승폭 축소…태릉 개발에 '구리' 들썩 - KB부동산 기준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806_..
-
[20.08.06]서울시 35층룰VS정부 50층 공공재건축 / 리모델링 단지 고밀도 재건축 기대감 없어/ 공공재건축, 사업지 투자수요 및 참여 높아/ 지분적립형 분양 제도 허점기사읽기 2020. 8. 6. 05:56
정부와 서울시간의 50층 공공재건축에 대한 협의는 안되었던거 같습니다. 정부의 강력한 항의에 서울시가 해명보도자료를 발표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하지만 불씨는 여전한거 같습니다. ‘50층 공공재건축’ 반대 서울시, 4시간만에 꼬리 내린 사연은?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6554.html 서울시 "아파트 공급 늘리고 층수규제도 피하는 묘안이었는데…"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8/803438/ 서울시 - 해명자료 (보도설명자료) 공공참여형 고밀재건축 층수 완화 관련 https://www.seoul.go.kr/news/news_explanation.do#view/322421 20년 08월 04일,..
-
[20.08.04]서울권역 등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 추가공급13.2만+⍺, 공공사전청약6만, 5.6대책 7만, 수도권 총127만호 공급계획/ 용적율 500%상향, 50층 허용부동산공부 2020. 8. 5. 07:22
2020.08.04일 정부와 서울시 합동으로 「서울권역 등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의 공급에 추가로 ‘13.2만호+⍺’ 등을 포함한 수도권 127만호 주택 공급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번에 태릉CC와 용산캠프킴 등 신규 공급 13.2만호+α 와 공공분양 사전청약 6만호, 기존에 발표한 공급 예정 물량 7만호(5.6대책)를 더해서 총 26.2만호+α 추가 공급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공공성이 확보된 재건축의 경우에는 재건축 용적율을 최대 500% 상향하고, 35층 층수 제한 규정을 완화하여 50층도 허용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이번 08.04 부동산 공급 대책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토부 - 보도자료 「서울권역 등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
-
[20.08.04]35층 제한 완화, 재건축완화, 10만가구 공급/ 전월세전환율 4% 인하, 급격한 월세전환 늦추기 위해 / 집값 10년만에 최대 상승, 7월 노도강, 금관구 강세기사읽기 2020. 8. 4. 07:41
정부가 최소 10만 가구 이상의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2020년 08월 04일 발표한다고 합니다. 서울 도심 공급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 용적률·35층 층고제한을 확 풀고 재건축 규제도 '파격적'으로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35층 풀리고 재건축 완화..10만가구 공급 내일 나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80315315588247 2020년 08월 03일 정치권과 정부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서울시는 2020년 08월 04일 오전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정부는 최소 10만가구 이상의 주택 공급방안을 발표한다고 하네요. △도심 고밀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 규제개선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유휴부지·국가시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