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05.11]용산 정비창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추진 / 국가채무 1인당 1500만원, 국가채무비율 상승속도 역대 최고/5월 분양, 5만 672가구 일반분양/ 강남 외지인 매입기사읽기 2020. 5. 11. 07:23
2020년 5월6일 수도권 공급 강화 대책에 발표되었던 용산 정비창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 용산 정비창 부지 인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추진 https://www.yna.co.kr/view/AKR20200510007100003?input=1195m 정부가 '5·6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발표 이후 주변 지역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기 대응 방안을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대책 발표 이후 개발 기대감으로 매물이 회수되는 등 가격 상승 조짐을 보이는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 인근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가격 급등지역은 공공 재개발 사업 추진을 배제하는 등 고강도 조치가 취해질 전망입니다. 용산 정비창 부지 인근을 조만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
-
2020년 4월 15일 총선이후, 서울 재건축단지 분위기/ 목동8단지 안전진단 심사 취소요청/ 성산시영 안전진단 통과/ 송파구 송파동 미성맨션 재건축 확정/ 2차안전진단 결과 주목기사읽기 2020. 5. 9. 15:59
2020년 05월 08일 성산시영은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재건축을 위한 첫단계를 통과하였고, 송파미성은 재건축을 확정하였습니다. 4.15 총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났고, 5월 6일 수도권 공급대책 강화 방안을 국토부에서 발표한 이후 서울 재건축 시장이 어떻게 될지 기사를 정리하면서 살펴봤습니다. 마포 성산시영에 대해서 2020년 01월, 02월에 기사읽기를 통해서 얘기를 했었는데 이번에 드디어 성산 시영이 통과가 안전진단을 최종 통과하게 되었네요. [20.01.09]마포 성산 시영, 1차 안전진단 D등급 조건부 통과 / 한국시설안전공단 or 한국건설기술연구원적정성 검토 절차, 6개월 소요 예상 / 2차 진단 D등급이 되어야 https://blog.naver.com/hanchiro/221765087..
-
[20.05.07]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국토부 (2)/ 가로주택정비사업/ 역세권 주택사업 / 준공업지역 공장이전/ 공실오피스,상가 주거화/ 용산 정비창/ 사전청약제부동산공부 2020. 5. 8. 07:47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 2020.05.06 보도자료 - 국토부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855 향후 3년간(`20년~`22년) 수도권 입주물량은 年 22.4만호, 서울은 年 7.2만호로 예년(`10년~`19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 ㅇ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은 예년대비 12.7%, 서울은 35.3% 증가 전망 * 오피스텔 포함 시 향후 3년간 수도권 年25.7만호, 서울 年9만호 공급 □ `23년 이후 수도권의 장기 주택공급 기반도 선제적으로 강화 필요 ㅇ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급위축 우려 불식 및 경기회복 시 수요증가에 대비 필..
-
[20.05.07]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국토부 (1)/ 공공재개발/ 주택공급활성화지구/ 공급이 안정화되었다고 하는데..부동산공부 2020. 5. 8. 07:41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 2020.05.06 보도자료 - 국토부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855 향후 3년간(`20년~`22년) 수도권 입주물량은 年 22.4만호, 서울은 年 7.2만호로 예년(`10년~`19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 ㅇ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은 예년대비 12.7%, 서울은 35.3% 증가 전망 * 오피스텔 포함 시 향후 3년간 수도권 年25.7만호, 서울 年9만호 공급 □ `23년 이후 수도권의 장기 주택공급 기반도 선제적으로 강화 필요 ㅇ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급위축 우려 불식 및 경기회복 시 수요증가에 대비 필..
-
[20.05.06] 트럼프, 1차무역 협상 파기 가능성 언급/ 2019년 종부세 인상안 개정안 폐기 될듯/ 5월달, 현대차 신사옥 GBC 착공 할듯/ 공공분양 3~5년 의무거주기사읽기 2020. 5. 7. 07:35
미국이 다시 중국을 압박하면서 미중무역전쟁에 돌입할 기세입니다. 중국이 2000억달러(약 245조원)의 미국상품과 서비스를 사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으면 1차 무역협상을 파기하겠다고 트럼프가 경고했네요. 코로나19로 재점화 우려 '美中 2차 무역분쟁' https://www.fnnews.com/news/202005051502296815 트럼프, 1차 협상 약속 이행 않으면 '파기' 2020년 05월 0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링컨 기념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화상 타운홀 행사를 갖고 “중국이 2000억달러(약 245조원)의 미국 상품과 서비스를 사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1차 무역협상을 파기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2020년 1월 미중 양국이 1차 합의문에 서명한 것으로 알려진 협상안이 코로나..
-
[20.05.05]2020년 04월 소비자 물가 0%대/ 코로나19, 원유 수요 감소 영향 / 사회적 거리두기 외출자체 관광업 하락/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 저물가 지속 가능성기사읽기 2020. 5. 5. 07:19
2020년 4월 소비자 물가가 0%대로 다시 하락했습니다.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여파로 외식수요가 감소하였고, 산업수요가 감소하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발 저유가·외식감소…소비자물가 다시 0%대 주저앉았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68394 내수 '체온계' 근원물가 21년만에 최저…D의 공포 덮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68661 디플레이션 우려 커지는데… 이달 소비 회복이 관건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505008003 보도자료 - 통계청 2020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https://kostat.go.kr/por..
-
[20.05.04]강남 재건축 급매 물건 사라지고 있어/ 한국 구매력평가(PPP)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 -1.3% 감소/ 아파트 분양 시장 활황/ 안산 장산 지구 지구지정기사읽기 2020. 5. 4. 07:20
최근 은마아파트가 불과 이틀만에 2억원이 올랐다고 하네요. 4월총선이후 잠잠했던 강남 재건축 매물의 급매성 물건이 사라지면서 매물잠김이 이어지고 있네요. 이틀새 2억 오른 은마, 지금이 바닥?…'급매' 귀해졌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50313554990685 4.15총선이후 4월말부터 1~2억낮춘 급매물 찾기 어려워 2020년 4·15 총선 이후 낙폭을 키웠던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가 5월 황금연휴 전후로 호가가 소폭 올라가고 있습니다. 4·15 총선 직후 호가를 1억~2억원씩 낮춘 '실망 매물'이 쏟아졌던 은마 아파트가 최근 급매을 찾기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2020년 5월 말까지 잔금을 치르는 조건의 '절세 매물'을 노리는 매수 대기자들은 늘고 있..
-
[20.04.29]공동주택 공시가격 의견제출 불만/ 전국공동주택공시가격, 의견수용률2.4%/ 서울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조합 총회 강행/ 서울 아파트 거래 2월에비해 45%이상 감소기사읽기 2020. 4. 30. 10:02
국토부에서 2020녀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공시하였네요. 의견제출안건이 37,410건 접수되었는데 조정건수는 2019년에는 21.5%나 되었는데 2020년에는 2.4%밖에 안되네요. 올해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 14.73%↑…13년만에 최대 https://www.dailian.co.kr/news/view/886944 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20년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공시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828 [ 1.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의견제출 ] `20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대한 의견은 열람기간(3.19~4.8) 동안 2,757개 단지에서 총 37,410건이 제출되었다. * 연도별 의견제출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