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읽기
-
[20.08.31] 노도강 10억클럽/ 서울외곽 매매 상승/전세가격 상승율 강남구 가장 높아/부산,광주 분양권 전매제한 시행전 거래활발 / 7월 외지인 서울 매입 3,457건기사읽기 2020. 8. 31. 07:01
서울외곽의 매매가격 상승율이 심상치 않습니다. 노도강(노원,도봉, 강북구)에서도 이제 전용 84㎡ 기준 10억원대 아파트가 나오고 있습니다. "10억은 서울 일부 아파트"라더니…노·도·강도 속속 '10억 클럽'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83026791 도봉구 사상 처음 9억원대 진입 아파트 나와, 10억 클럽 진입 2020년 08월 11일 서울 도봉구에서 창동 동아청솔아파트 가 사상 처음으로 9억원대에 매매되었습니다. 노원구와 강북구가 지난 6월 각각 10억원을 찍은 데 이어 도봉구도 사상 처음으로 9억원대에 진입하면서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잇따라 ‘10억원 클럽’(전용 84㎡ 기준) 진입을 하고 ..
-
[20.08.28]서울아파트 전세 61주 상승, 전세거래량 전년대비75%급감/ 서울 매매 하위20%1년새 19.5%증가/ 주택담보대출 한도기준, 감정원 시세/ 신목동파라곤 분양기사읽기 2020. 8. 28. 07:21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61주연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세거래량은 전년대비 75%나 급감했는데 전세수급지수는 전년대비 27포인트 상승하면서 전세가격 상승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 전망하네요. 연립까지 뛴다, 강남 집값 잡으려다 서민 죽을 맛 https://news.joins.com/article/23858856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1주 연속 상승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24일 기준)은 0.11% 상승하면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1주 연속 올랐습니다. 강남구(0.16%), 송파구(0.16%), 성북구(0.16%), 서초구(0.15%), 마포구(0.15%) 등지가 많이 올랐다고 합니다. 한국감정원 전세수급 지수 119.4 1년전 대비 27p높아, ..
-
[20.08.27]서울아파트 평균 전세 5억원 돌파, 매매가격도 9억8000만원대 / 대부업자 끼고 채권 활용, 대출 받아, 규제/정부, 공동명의 주택 종합부동산세 특별공제 않기로기사읽기 2020. 8. 27. 06:46
KB부동산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 5억원 돌파, 서울 평균매매가격은 9억8000만원 10억 눈앞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전세 공급 부족현상은 앞으로 더 심화되고 전세가격도 올라갈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전셋값 5억원 돌파…평균매맷값은 10억원 눈앞(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00826091351003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5억 돌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53281&code=11151500&cp=nv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 5억 1천11만원, 1년전보다 9.6% 상승 2020년 08월 26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
-
[20.08.26]오피스텔거래 역대 최대/ 강변북로 지하화 도로 기부채납, 성수 50층 재개발 지연/ 신도시 땅 보상금 45조원/ 꼬마빌딩 50억원 미만 거래 활발, 수익형 부동산기사읽기 2020. 8. 26. 06:57
아파트 규제 ‘풍선효과’… 지난달 오피스텔 거래 역대 최대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825521577 청약때 주택수 포함 안돼 수요 몰려 7월 매매량 4504건… 1년새 64%↑ 대출·세금·실거주의무 규제 등으로 아파트 거래가 위축되자 오피스텔 거래량이 늘고 가격이 오르는 등의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실거주·투자수요 오피스텔로 몰렸다 오피스텔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서울 (1612건) 이어 경기(1215건), 부산(493건), 인천(452건)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시장에선 이러한 현상이 지속하기 어렵다고 보는 분위기다. 최근 주거용 오피스텔 등을 주택 수에 포함하는 내용이 담긴 지방세법 개정안이 통과돼 향후 투자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
[20.08.25] 타워팰리스 신고가/ 세종천도론/ 세입자 반대시 임대료 인상 못해, 월세전환도 세입자 반대시 안돼 / 전국 전세수급지수 5년만에 최고치/ 전세품귀현상 심화될 듯기사읽기 2020. 8. 25. 06:36
주상복합 아파트는 용적율이 높아 재건축이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이번 "똘똘한 한채" 선호현상으로 구축임에도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타워팰리스가 단숨에 신고가를 뛰어 넘었네요. 14년간 잠자던 타워팰리스도 신고가…주상복합마저 달아올랐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82405631 주상복합아파트는 기존 아파트에 비해 용적률이 높아 연식이 오래되더라도 재건축하는데 있어 사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업이 어렵다는 결정적인 단점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아파트에 비해 워낙 가격 상승이 안된 상황에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해서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등 지역 대표 주상복합의 신고가가 잇따르고 있다..
-
[20.08.24]주거용 부동산 89건 거래, 거래량 86%감소, 토기거래허가구역 잠삼대청 더 상승/월70만원 이상의 소득 20대 자녀, 가구 분리 가능/조합추진위 조합설립 속도전기사읽기 2020. 8. 24. 06:41
지난 2개월동안 주거용 부동산 89건 거래되면서 2019년보다 거래량이 86% 줄어들었습니다. 그렇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2달동안에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은 더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토지거래허가 비웃는 현금부자들…강남·잠실은 더 올랐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82367981 강남 토지거래허가 두 달…집 거래 급감, 가격 상승 둔화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9022.html 강남권 토지거래허가 시행 두달…거래는 급감하고 가격은 올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823010700003?input=1195m 2020년 08월 23일 국토교통부와 ..
-
[20.08.21]임대사업자, 임대보증금 보증가입 의무화/ 서울 아파트 매매가 0.44%상승, 전세 0.38%상승, 경기도 전세가격 확산/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3차 무순위 청약기사읽기 2020. 8. 21. 06:16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2020년 08월 18일부터 임대사업자 보증보험 가입의무화가 시행되었습니다. 그런데 보증료에 대해 KB부동산이나 한국감정원의 시세가 아닌 감정평가를 매년 받아서 내야 한다고 하네요. "보증료 37만원인데 수수료 97만원" 황당한 임대보증금 보증 -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https://news.joins.com/article/23852748 2020년 08월 18일부터 임대사업자는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를 시행합니다. 임차인은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 보험보다 부담이 줄어들긴 하지만 임대사업자는 보증료에 대해서 감정평가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더욱이 보증금이 커질 수록 납입해야 할 보증료가 커지기 때문에 집주인은 전세 보다는 월세로 전환하여 보증료를 낮추려 하기 때문에 전세 매물은 더욱..
-
[20.08.13]은행가계대출 7조 6천억 증가, 전세담보대출 2조 7000억원 증가/ 금융위원장,대출규제 위반 여부 점검/ 서울아파트 평균10억원 돌파, 매매가 11주 연속 상승기사읽기 2020. 8. 13. 06:54
2020년 07월 은행의 가계대출이 역대 최대 폭인 7조6천억 원 증가해했다고 합니다. 최근 전셋값 상승과 6.17 대책 직전 활발했던 아파트 매매에 따른 자금 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 대출로 충당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가계대출 역대 최대폭 증가...전세·신용 대출 급증 https://www.ytn.co.kr/_ln/0102_202008122201218912 빚투에 전세난까지…7월 가계대출 전월보다 9조 급증(종합) https://www.news1.kr/articles/?4024130 2020년 07월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936조5천억 원을 기록하면서 2020년 06월보다 7조6천억 원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증가액은 동월 대비 7월 기준으로는 2004년 관련 통계집계 이후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