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읽기
-
[20.08.10]전세자금대출 94조원 한달새 2조 증가/ 전세가격 지수 역대 최고 / 반전세,월세 전환 계약 늘어/ 통계상 반전세는 월세, 은행은 전세대출/ 전세가격상승 지속기사읽기 2020. 8. 10. 07:36
2020년 07월 전세대출이 한달새 2조원이나 늘어남녀서 전세 자금 대출의 잔액 기준 94조원을 돌파하였다고 합니다. 이런 증가 속도면 2020년 말이면 100조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7월은 장마와 휴가시즌이 겹치면서 전세 거래가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전세대출이 증가하진 않는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전세 대출이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3040 무주택자들이 전세자금대출을 받아서 집을 매매하는 갭투자가 성행한 요인과 함께 6.17대책 이후 전세가격이 급등하면서 요구되는 전세보증금 가격이 상승하다 보니 전세대출을 더 받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은 이런 전세가격 상승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
-
[20.08.07]서울 아파트 전세 58주째 상승,임대차3법 영향 경기권 확산/서울 매매 9주째 상승/ 행정수도 천도설,세종시 폭등/ 국토부, 전월세전환율 언급/ 전세 불균형 심화기사읽기 2020. 8. 7. 06:16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58주째 상승하며 연일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급등하고 있습니다. 전셋값도 매매값 상승처럼 일명 ‘풍선효과’를 보이며 경기권까지 확대하고 있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규제의 역풍'…서울 이어 경기도 전셋값도 '폭등 - 한국감정원 기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57126625864696&mediaCodeNo=257 임대차3법 효과?..전셋값 57주째 상승, 세종이 1위 - 한국감정원 기준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80613402304858 서울 집값 상승폭 축소…태릉 개발에 '구리' 들썩 - KB부동산 기준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806_..
-
[20.08.06]서울시 35층룰VS정부 50층 공공재건축 / 리모델링 단지 고밀도 재건축 기대감 없어/ 공공재건축, 사업지 투자수요 및 참여 높아/ 지분적립형 분양 제도 허점기사읽기 2020. 8. 6. 05:56
정부와 서울시간의 50층 공공재건축에 대한 협의는 안되었던거 같습니다. 정부의 강력한 항의에 서울시가 해명보도자료를 발표하면서 일단락되는 듯 하지만 불씨는 여전한거 같습니다. ‘50층 공공재건축’ 반대 서울시, 4시간만에 꼬리 내린 사연은?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6554.html 서울시 "아파트 공급 늘리고 층수규제도 피하는 묘안이었는데…"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8/803438/ 서울시 - 해명자료 (보도설명자료) 공공참여형 고밀재건축 층수 완화 관련 https://www.seoul.go.kr/news/news_explanation.do#view/322421 20년 08월 04일,..
-
[20.08.04]35층 제한 완화, 재건축완화, 10만가구 공급/ 전월세전환율 4% 인하, 급격한 월세전환 늦추기 위해 / 집값 10년만에 최대 상승, 7월 노도강, 금관구 강세기사읽기 2020. 8. 4. 07:41
정부가 최소 10만 가구 이상의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2020년 08월 04일 발표한다고 합니다. 서울 도심 공급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 용적률·35층 층고제한을 확 풀고 재건축 규제도 '파격적'으로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35층 풀리고 재건축 완화..10만가구 공급 내일 나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80315315588247 2020년 08월 03일 정치권과 정부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서울시는 2020년 08월 04일 오전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정부는 최소 10만가구 이상의 주택 공급방안을 발표한다고 하네요. △도심 고밀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 규제개선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유휴부지·국가시설 ..
-
[20.08.03]기존 세입자, 임대인정보 열람 가능케 하겠다./ 협의양도특공, 토지주 1주택 공급, 토지보상금 서울유입 차단 의도 / 서울 전세 잠김 현상, 빨라기사읽기 2020. 8. 3. 07:03
집주인이 실거주로 계약 갱신 거부를 할 경우, 세입자는 임대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점점 임대인과 세입자 사이를 갈라놓는군요. 집주인 ‘실거주 계약갱신 거부’···세입자 “임대인 정보 열람한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F9QS49Q 계약갱신 거부당한 세입자, 집주인 실거주 여부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802047600003?input=1195m 국토부 보도자료 [설명] 정부는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안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https://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1&id=95084245 ③ 셋째, 임차인의 정보열람..
-
[20.07.30]임대차3법 국회 상임위 통과, 기존세입자 계약갱신청구권 발효, 신규 세입자 차별/ 10월, 재산세율 인하 방안 예정/ 분양가상한제 유예 종료,전매제한 최장10년기사읽기 2020. 7. 30. 07:15
2020년 08월초 부터 임대차 3법이 시행될듯 합니다. 임차인은 4년간 임대기간을 보장받으며 계약을 1회 갱신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은 직전 임대료의 5% 넘게 갱신할 수 없습니다. 임대차 3법 대해부…4년뒤 전셋값 폭등 온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72913213481177 임대차3법이 2020년 08월 초부터 시행될 거 같습니다. 임차인(세입자)은 4년간 임대기간을 보장 받으면서 계약을 1회 갱신할 수 있게 되었고, 집 주인은 직전 임대료의 5% 넘게 갱신 임대료를 올릴 수 없습니다. 이는 법 시행 후 체결되는 신규 계약만이 아니라 기존에 존속되고 있는 계약에도 소급 적용된다고 합니다. 여당측, 임대차3법 가급적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임대차3..
-
[20.07.29]전월세 신고제 법안 국토위 통과/ 임대차 3법/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여야합의불발/ 신규계약자 계약금 급등 예상/ 전세수급지수 상승중기사읽기 2020. 7. 29. 07:31
2020년 07월 28일, 정부가 추진 중인 2019년 12·16 부동산 대책의 주요 정책들에 대한 후속 입법과 ‘임대차 3법’의 하나인 전월세신고제 도입 법안 들이 대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독주하는 슈퍼 여당···전월세신고·민간임대법 등 국회 상임위 통과 https://sedaily.com/NewsView/1Z5H95IBCQ 국회 문턱 넘은 전‧월세 신고제…‘임대차 3법’ 속도 붙는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835592 전월세 신고제 전월세 거래를 하면 30일 내에 임대 계약 당사자와 보증금 및 임대료 임대기간 계약금·중도금·잔금 납부일 등 계약사항을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해야 한다. 현행, 2006년 부동산 거래 신고제가 도입된 뒤 주택을 비롯한 ..
-
[20.07.26]7.10대책이후 15억원 신고가, 관망 분위기/ 수도 이전 발언, 세종시 주변까지 영향/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 용적율 상향/ 한국은행,전세가격 상승 전망기사읽기 2020. 7. 27. 07:08
7.10대책 이후, 서울 실거래된 15억 초과아파트 36건 가운데 16건이 신고가 거래되었고, 급매물을 예상하였으나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7·10 이후에도 15억원 이상 초고가 둘 중 하나 ‘신고가‘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725000096 7·10 대책 이후, 서울에서 실거래된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가운데 45%는 신고가를 기록하였고,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강화로 값을 내린 급매물을 예상했지만, 좀 더 관망해보자는 분위기가 짙다고 합니다. 초고가 대열에 들어섰던 강북 핵심지 집값은 소폭 하락세, 강남지역 오히려 평균값 상승 초고가 대열에 들어섰던 강북 핵심지 집값은 소폭 하락세를 보였으나, 강남지역은 평균 값이 오르면서 지역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