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읽기
-
[20.07.03]청와대, 국토부장관 긴급보고 관련 서명브리핑/ 청년·신혼부부 등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규제완화, 추가 공급물량 늘려라, 투기성 주택 보유자 부담 강화하라기사읽기 2020. 7. 3. 07:17
어제자 ,청와대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님 긴급보도 관련 서명 브리핑이 있었습니다. 4개 정도로 요약할 수 있는 지시사항에 대해서 언론에서 많은 얘기가 나왔습니다. 해서 청와대의 지시사항과 함께 기사들을 묶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긴급 보도 관련 서면 브리핑 문재인 대통령님은 “정부가 상당한 물량의 공급을 했지만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으니 발굴을 해서라도 추가로 공급 물량을 늘리라”고 말했습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긴급보고 관련 서면브리핑 2020-07-02 https://www1.president.go.kr/articles/8829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후 4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주택시장 동향과 대응 방안에 대해 보고받았습니다. 보고 후 문 대통령은 주택정책..
-
[20.07.02]서울 아파트 중위전세가격 4억 6129만원/ 위례,남태령,동작구 수방사 군(軍)부지 청년·신혼부부 1300호 공공주택 개발/ 아현1구역, 토지주 주민동의율 달성기사읽기 2020. 7. 2. 06:44
서울의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이 4억6129만원으로 3년 1개월간 13.0%상승하였고, 강남,서초가 1,2위로 전세상승폭을 기록하였습니다.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 5322만원 올랐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070202151532036002 ‘4억6129만원’ 서울 아파트 전세 중간가격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1851.html 중위가격 중위가격은 주택 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가격으로 중간가격, 중앙가격이라고 불린다. 시세 조사 대상인 표본 전체의 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가격으로, 특정 시점의 집값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다만, 고가의..
-
[20.07.01]서울 6월거래량 증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서울아파트매수 30%, 30대 패닉바잉/6월 서울 전세수급지수 173.5%, 공급절대 부족/ 재개발 수요증가기사읽기 2020. 7. 1. 07:43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늘고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6월 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누를수록 더튀는 서울 집값 … 규제 비웃듯 신고가단지 속출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070102101532036001 2020년 6월 서울 아파트 매매 누적 거래량 6513건, 2월 8266건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많아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06월 30일 집계에 따르면 6월 서울 아파트 매매 누적 거래량은 6513건으로 올해 2월 8266건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6·17 대책 이후에도 서울 곳곳에서는 가격 상승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2019년 12..
-
[20.06.30]수도권인구 184%증가,서울 감소,지방 공동화, 인구 양극화/ 3기 신도시 등, 토지보상금 2021년말 50조원 육박, 정부, 아파트용지 대토 추진계획/ 빌딩투자기사읽기 2020. 6. 30. 07:15
수도권이 1970년대비 184%나 상승하면서 지방보다 더 많은 인구가 집중하고 있습니다. 10~20대가 수도권으로 순유입이 계속 늘고, 30대는 잠시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40~60대도 순유출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이전 끝나자 다시 ‘in서울’…수도권 인구, 비수도권 사상 첫 추월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629519367 50년새 184% 늘어난 수도권 인구, 비수도권 첫 역전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62910455362349 통계청 - 보도자료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
-
[20.06.29] 계룡, 천안 풍선효과/ 분당, 강남 대치 대체 학군지로 부각/ 사유재산 침해 위헌소지 여론/ 30대, 2년간 주택대출 102조 최대/ 용인 수지 보원 리모델링기사읽기 2020. 6. 29. 07:06
수도권 대부분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지방 다른 비규제지역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계룡,천안이 풍선효과로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계룡·천안…비규제지역 또 풍선효과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6/660741/ 2020년 06월 28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6월 22일 기준)에 따르면 계룡 아파트 매매 가격이 1.2%, 천안시는 0.42%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대전과 인접한 계룡은 지방 비규제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매매 가격 상승률이 1%를 넘었습니다. 이는 2012년 5월 7일 한국감정원 주간 동향 통계가 제공된 이래 계룡의 가장 높은 상승률이라고 합니다. 6·17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지역으로 묶인 대전..
-
[기사정리]20년6.17대책이후, 김포 풍선효과/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세대란 예고/ 재건축 단지, 연말 조합설립신청/ 청약 중도금, 잔금대출 소급적용/ 전세52주 상승기사읽기 2020. 6. 28. 09:04
지난 1주간의 6.17대책에 관련된 내용만 뽑아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풍선효과로 인한 김포, 파주가 상승하였고, 토지거래허가제로 강남권의 전세매물은 사라지고 6월 23일 이전에 매매를 서두르신 분들로 인해 잠실의 매물도 사라졌습니다. 실거주 2년을 해야 하는 재건축 단지들은 집주인이 들어와 살려는 움직임으로 인해 전세입자들이 밀려날 처지가 발생하였습니다. 정부는 6월 22일에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예외규정을 발표하였고, 6월 23일에는 청약 중도금 대출과 잔금대출에 대해서 사실상 소급적용을 해버렸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이번 규제에도 규제지역의 상승은 막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경기도에서는 하락하는 지역이 없고, 서울도 금관구, 노도강 중심으로 가격도 급등수준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풍선효과로 김포, 파주..
-
[20.06.26]서울전세가격 상승중,내년 입주물량 줄어, 전세대란 예상/서울 주요지역 6.17대책후 매매가격 상승/ 지방 풍선효과, 부산 분양권 거래상승/ 흑석11구역 심의통과기사읽기 2020. 6. 26. 06:27
서울 전세가격은 52주째 상승중이고, 2020년 하반기부터 서울 입주물량은 2019년보다 물량이 적습니다. 그리고 2020년 6.17부동산대책으로 전세 수요를 억제하였습니다. 앞으로 전세대란이 걱정이네요. 6·17 대책후 1억 올라"…불붙은 서울 전셋값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6/653441/ 서울 전셋값은 1년(52주) 연속으로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2020년 하반기부터 서울 입주물량이 크게 줄어 전셋값이 더욱 불안해질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정부 규제가 전세 공급도 줄이는 효과로 더욱더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6월 22일 기준)에 서울 아파트 전셋값 0.08% 올라 2019..
-
[20.06.25]2주택자도 전세보증금에 소득세 과세할수도/2500억 재건축부담금 징수 시작,한남연립 16억/ 6·17 대책,추첨제 물량 65% 급감/ 대형평형 아파트 주목받아기사읽기 2020. 6. 25. 06:50
정부가 21번째 부동산대책에 이어 부동산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등을 인상하는 세제 개편을 2020년 07월에 발표한다고 하네요. 부동산보유세 올리고 2주택자 전세금 소득세 과세한다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0062417458051079 정부가 21번째 부동산대책에 이어 부동산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 등을 인상하는 세제 개편에 나설 것으로 합니다. 부동산 보유세 올리고 2주택자인 경우 전세보증금에도 소득세를 과세할 것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양도세 부과시 실거주 조건을 강화하고 공시가격을 단계적으로 올려 보유세 부담을 높이되 서민·실수요자의 피해를 막기 위해 공시가격 9억원 미만 주택은 재산세 부담을 낮추는 방안도..